서경 TODAY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 (사)한국현대무용협회 조직위원회 주최 ‘제2회 모다페 국제 무용 콩쿠르’에 참가해 ‘금상’ ‘은상’ ‘동상’ 등 수상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이 (사)한국현대무용협회 조직위원회 주최로 지난 7월 1일(화) 서울아트센터 도암홀에서 열린 ‘제2회 모다페 국제 무용 콩쿠르’에 참가해 ‘금상’ ‘은상’ ‘동상’ 등을 수상하는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누구나 춤 출 수 있고, 누구나 무대를 경험해 볼 수 있다.’라는 슬로건 아래 장르별로 개최된 이번 국제 무용 콩쿠르에서 먼저, 전통 부문에 출전한 대학원생 박서현 학생이 최현류 비상 작품으로 ‘특상’을 수상했다. 이어, 창작 부문에 무대에 오른 4학년 권은비 학생은 ‘버려진 황녀’라는 작품으로 ‘특상’을, 같은 학년의 김채연 학생은 ‘화, 화(火, 花)’라는 작품으로 ‘금상’을 각각 수상했다.또, 3학년 학생들은 김민성 학생이 창작 부문에 출전해 풍류운산 작품으로 ‘특상’을, 길수빈 학생은 전통 부문에서 최현류 여울 작품으로 ‘금상’을, 원소현 학생은 최현류 비상작품으로 ‘금상’을, 김소영 학생은 이매방류 승무 작품으로 ‘은상’을 잇따라 수상했다. 아울러, 1학년 학생들은 창작 부문에 출전하여, 최미르 학생은 ‘선율의 울림’이라는 작품으로 ‘금상‘을, 박정민 학생은 ’잃고도 잊혀지지 않는..‘ 작품으로 ’은상‘을, 박예인 학생은 전통 부문의 이은주류 살풀이 작품으로 ’은상‘을 연이어 수상했다 이번 수상으로 서경대학교의 위상을 높이고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를 전국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치열한 경연을 펼치며 학생 본인의 기량을 마음껏 뽐내고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값진 경험이 되었다.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는 학부 특성화 방안으로 학생들이 무용수로서 다양한 경험과 이후의 진로를 모색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전국 무용경연대회에 출전하도록 장려하며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해마다 각종 대회에 출전해 작품의 높은 완성도와 풍부한 예술성을 보여주며 우수한 수상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학생들의 무용경연대회 출전은 대회를 준비하면서 전문 무용수로의 역량 향상과 인성 함양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좋은 경험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진로를 탐색하고 취업을 결정할 때 매우 중요한 경력이 되며, 학생들의 가능성과 발전 잠재력을 뛰어난 실력과 열정으로 증명하는 성과를 얻는 기회가 되고 있다.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칼럼:[서기수의 경제+] 한미관세 협상에 따른 투자전략 세우기
2025년 7월 30일(현지시간), 한국과 미국은 관세협상을 타결하며 상호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췄다.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지루하게 끌어오던 시장의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이다. 물론 본격적인 사항은 실무자들의 협상과 향후 변경될 여지는 있지만 일단 정부의 표현대로 한 고비를 넘겼다고 할 수 있다.그 내용을 살펴보자면 미국이 8월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부과하려던 높은 관세를 완화한 결과로, 자동차 및 부품 관세도 15%로 조정되었다. 한국은 이를 대가로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7조 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약속했으며, 이 중 1,500억 달러는 조선업 협력에 전용된다.쌀과 소고기 시장의 추가 개방은 제외되었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향후 품목별 관세에서도 한국이 경쟁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협상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무관세 혜택 상실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고, 일본·EU와 동등한 경쟁 조건을 확보한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대규모 투자 약속은 장기적인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투자 환경에 미치는 영향한미 관세협상 타결은 한국 수출 기업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가격 경쟁력을 일부 회복시켰다. 특히 자동차, 조선, 반도체 등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은 관세 부담 완화로 수혜가 예상된다(물론 자동차와 반도체는 그동안 무관세나 관세 부담이 없었다가 새로이 발생된 부분으로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그러나 코스피는 협상 타결 직후 하락세를 보였는데, 이는 관세 인하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선반영된 데다 국내 세제 개편 실망감, 미국 기준금리 동결 등의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이다.단기적으로는 관세 인하로 수출 기업의 비용 부담이 줄어들며 주가 반등 가능성이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3,500억 달러 투자 계획이 조선, 반도체, 2차 전지, 바이오 등 한국의 강점 산업을 중심으로 미국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정책금융 중심의 펀드 지원은 기업의 금융비용 절감과 시장 접근성을 높여 구조적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다.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내용 유망 업종 및 종목어떤 이벤트나 정책의 변화에도 그 내용이 악재로 작용해서 주가나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회사가 있겠으나 반드시 수혜주도 있다고 본다면 이번 관세협상체결로 인한 향후의 투자전략과 유망 업종이나 종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1. 조선업한미 협상에서 조선업은 1,500억 달러 규모의 전용 투자 펀드로 주목받는다. 미국의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약속은 조선업의 대미 수출과 현지 생산 확대를 촉진할 가능성이 크다. 유망 종목으로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등이 꼽힌다. 이들 기업은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미국 내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수혜를 볼 전망이다.2. 반도체반도체 업종은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으로 관세 인하로 제품 가격 경쟁력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과 맞물려 한국 기업의 현지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미국 내 공장 확장과 AI 관련 수요 증가로 수혜가 기대되며, SK하이닉스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증가로 주목받는다.3. 2차 전지2차 전지 업종은 미국의 전기차 시장 성장과 관세 완화로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 LG화학과 삼성SDI는 미국 현지 생산 시설 확충과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공급망에 대한 우려로 최근 주가가 상당기간 약세를 보였다는 점을 고려해서 호흡을 길게 보고 가야 하겠다.4. 바이오바이오 업종은 관세 불확실성이 남아 있지만,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보 전략으로 리스크를 줄이고 있다. 셀트리온은 미국 CMO(위탁생산) 설비 인수와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를 통해 성장 가능성을 보인다. 다만, 의약품 관세가 추가로 부과될 경우 수익성 저하 위험이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5. 자동차자동차 업종은 관세가 25%에서 15%로 낮아지며 가격 경쟁력이 회복되었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와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혜가 기대된다. 그러나 기존 FTA 무관세 혜택 상실로 마케팅 및 품질 강화가 필수적이다.그래서 앞으로의 투자전략은지금까지 언급한 내용은 어디까지나 필자 본인의 얕은 지식과 전망에서 공유한 것으로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투자에 임해야 하겠지만 시장에 다양한 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그 어느 때보다 많다는 점을 잊지말고 항상 관심을 갖고 속칭 출동 준비를 하는 자세가 필요하겠다.일단 단기 전략으로는 관세 인하로 수혜가 예상되는 조선, 반도체, 자동차 업종의 주요 종목에 선별적으로 투자하되, 시장의 순환매 양상을 고려해 단기 급등락에 유의해야 한다.코스피 하락 국면에서는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종목을 저점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중장기 전략으로는 대미 투자 확대가 구조적 성장을 견인할 가능성이 크므로, 조선·반도체·2차 전지 등 미국 시장 진출에 적극적인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정책금융 지원을 받는 기업은 비용 절감 효과로 안정적 성장이 가능하다. 다만, 바이오 업종은 관세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높아 리스크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 경제 불확실성, 국내 세제 개편 리스크 등을 고려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야 한다. 특히 미국 기준금리 동결로 인한 달러 강세는 수출 기업에 유리하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은 비용 부담을 키울 수 있다.한미 관세협상 타결은 한국 수출 기업의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경쟁력을 회복시킨 긍정적 결과다. 조선, 반도체, 2차 전지, 자동차 업종이 주요 수혜 대상으로 꼽히며, 관세와 무관한 엔터테인먼트나 게임, 레져, 여행 업종의 관심도 좋겠다.투자자는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을 활용해 저점 매수 기회를 찾고,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시장 진출과 정책금융 수혜 기업에 집중해야 한다. 다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업종별 관세 리스크를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프로필] 서기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교수(현)한국금융연수원 겸임교수(현)서울시민대학 사회경제분야 자문교수(전)한미은행, 한국씨티은행 재테크팀장<원문출처>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mobile/article.html?no=193867
서경대학교, 영어와 예술 융합한 ‘뮤지컬 영어캠프’ 성료
8월 4일부터 9일까지 6일간, 관내 초등 저학년 대상으로 운영성북구청장이 직접 수료증을 수여해 학습 동기 강화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는 지난 8월 4일부터 9일까지, 6일간, 30명의 관내 초등 저학년(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서경대학교와 함께하는 뮤지컬 영어캠프‘를 성황리에 열었다. 특히, 프로그램 과정에 80% 이상 참여한 학생들에게는 성북구청장이 직접 수료증을 주는 수여식이 진행되어 특별한 마무리를 장식했다.‘서경대학교와 함께하는 뮤지컬 영어캠프’는 성북구청(구청장 이승로)이 주최하고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가 주관하는 ‘학력신장 프로젝트’ 중 하나로, 문화예술을 활용해 학습 몰입도와 자기 주도 학습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기획된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이다. 특히 영어와 뮤지컬을 접목해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고 지역 아동의 창의성과 표현력을 함께 길러주는 점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이번 여름방학 캠프에서는 1988년 영화 ‘헤어스프레이’를 원작으로 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헤어스프레이(Hairspray)>의 주요 장면을 선정해 수업에 활용했다. 서경대학교 원어민 교수진(Tim Wright, Chris Pugay, Robert Quick) 및 뮤지컬전공 교수진(최은정, 김삼일), 문화예술전공 교수진(권미경, 허수연), 전문강사진(김다송, 이문아), 뮤지컬전공 재학생들이 함께 생생한 영어 표현과 무대 경험을 동시에 제공했다.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공연예술학부 뮤지컬전공 최은정 교수(문화예술센터장)는 “뮤지컬이라는 종합예술을 활용함으로써 저학년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영어에 익숙해지고 기초학력을 높일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설계했다”며, “앞으로도 서경대학교가 가진 융복합 예술교육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창의성과 외국어 습득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융합형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관련기사>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5/08/12/2025081202532.html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8711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812_0003288020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67169내일신문 https://www.naeil.com/news/read/557789?ref=naver
서경대학교, K-POP 멘토링 & 청진기 프로그램 성료 관내 지역 청소년 250명 진로역량 강화
서경대-성북구청 협력, 문화예술 기반 진로교육 성과 지역사회 연계 모델로 주목△ 2025 서경대와 함께하는 여름 청진기 현장직업체험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 교수)는 성북구 관내 중·고등학생 250여 명을 대상으로 2025 서경대와 함께하는 ‘K-POP 멘토링(댄스·음원제작·보컬)’과 진로체험 프로그램 ’청진기’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특히, K-POP 멘토링에 80% 이상 참여한 청소년들에게는 성북구청장 명의의 수료증이 수여돼 참여의 의미를 더했다.서경대와 함께하는 ‘K-POP 멘토링(댄스·음원제작·보컬)’과 ‘청진기(청소년 진로직업체험의 기적)’ 프로그램은 성북구청과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가 지역 청소년들의 문화예술역량 강화와 진로 탐색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지역 연계 교육 프로그램이다. 매년 여름방학 기간을 활용해 운영되는 본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인 경험과 미래 진로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이번 ‘K-POP 멘토링’ 과정은 서경대학교 공연예술대학 실용음악학부(학부장 장웅상 교수), 무용예술학부(실용무용전공 천성욱 교수) 교수진의 지도와 재학생, 졸업생들의 참여로 K-POP 댄스, K-POP 음원제작, K-POP 보컬 등 다채로운 콘텐츠를 통해 약 60명의 청소년들이 전공과 진로 탐색을 넘어 자신의 재능을 발굴하고, K-POP 문화를 건강하게 이해하고 즐기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운영됐다. △ K-POP 멘토링아울러, 청소년들이 다양한 직업 현장을 방문하여 실제 업무를 체험하고 직업인과의 대화를 통해 진로를 탐색하는 프로그램인 청진기(청소년 진로직업체험의 기적)는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부학장 신세영 교수), 공연예술대학 뮤지컬전공(최은정 교수) 교수진의 지도와 석사과정생들의 참여로 메이크업과 헤어디자이너, 뮤지컬 실습 등 다양한 체험을 통해 실제 직무를 경험하고,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직업에 대한 현실적인 조언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190여 명의 참여 학생들은 각 분야별 도구 실습과 전문가 시연을 통해 실무에 대한 감각을 익히며 진로개발 역량을 한층 끌어올리는 계기를 마련했다.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권미경 교수(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는 “현재 K-POP, K-뮤지컬, K-뷰티 는 전 세계 문화산업 전반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이는 청소년들에게 진로 탐색과 역량 개발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며, “서경대학교는 대학이 보유한 전문 인프라와 교육 자원을 지역사회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청소년들이 보다 넓은 시야와 실질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관련기사>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5/08/12/2025081202518.html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8710E동아 https://edu.donga.com/news/articleView.html?idxno=93366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67143내일신문 https://www.naeil.com/news/read/557788?ref=naver뉴시안 http://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570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칼럼:[서기수의 경제+] 스테이블코인과 Genius Act로 보는 금융시장의 변화
요즘에 금융 관련 뉴스에서 가장 많이 눈에 띄는 용어가 바로 ‘스테이블코인’이 아닐까 싶다. 가상화폐나 디지털자산 등의 표현이 어느 순간 일상 생활화되어 버렸는데 스테이블코인도 이제는 우리 생활의 일부분처럼 느껴진다.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어떻게 스테이블코인 관련 주식 및 채권시장의 영향을 통한 투자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은 걸까? 이번 호에서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스테이블코인이란, 이름 그대로 가치(value)가 ‘안정적인(stable)’ 암호화폐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달리, 스테이블코인은 특정 법정화폐(주로 미국 달러)나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의 가치에 1:1로 고정(페그, peg)되어 가격 변동성이 매우 낮다. 쉽게 말해, ‘디지털 달러’라고 생각하면 된다.담보별 스테이블코인 특징 최근에 이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미국 의회를 통과해 다시 한번 공신력과 미국의 시장 확대 정책이 검증되었다. 그 법안이 바로 Genius Act이다.‘GENIUS Act’는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 of 2025’의 약자로,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며, 미국 금융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한 규정을 담고 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 법안은 미국 상원이 2025년 6월 17일에 통과한 스테이블코인(가치가 달러 같은 안정 자산에 연동된 암호화폐)에 대한 최초의 연방 차원 규제 법안이고,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미국 달러의 글로벌 금융 패권을 강화하며,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편입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법안의 주요 내용과 그 배경을 살펴보면 먼저 배경은 2020년대 초반부터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급성장했지만, 2022년 테라-루나 사태(테라USD 스테이블코인의 가치 붕괴로 약 53조원 손실 발생)로 인해 규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주마다 달랐고, 연방 차원의 통일된 기준이 없어 혼란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가장 중요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확대 정책 이유로는 중국의 mBridge(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기반 결제 네트워크) 등 경쟁국들의 디지털 화폐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미국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글로벌 금융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하고 있다. 또한 미국 단기 국채를 담보로 삼아 미국 채권시장의 고정적인 수요처를 발굴해서 미국 부채에 대한 안정적인 운용과 함께 국채금리의 안정화를 기하자는 목표도 있다.Genius Act 주요 내용 이 법안이 중국에 미치는 영향은 달러 의존도 증가와 통화 주권 약화와 함께, 중국내의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강화되면서 디지털자산에 대한 인식과 개발, 성장 속도가 더뎌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경쟁력 약화가 있지만 한국의 디지털 자산 산업의 기회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하지만 통화주권에 대한 위협도 도사리고 있어서 정부와 학계 및 핀테크 업체 등의 협업을 통한 우리나라만의 디지털자산 발행, 유통, 관리 및 결제나 송금 등의 활용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하고 최대한 시행착오를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결론적으로 GENIUS Act는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으로 편입시키며 미국 달러의 글로벌 금융 패권을 강화하고, 디지털 자산 시장의 신뢰성과 혁신을 촉진하는 역사적 법안이다. 세계경제에는 달러 기반 결제 시스템의 확대, 국채 수요 증가, 금융 혁신 가속화 등의 영향을 미치며, 아시아 국가들에는 통화 주권 위협과 산업 기회라는 양면적 영향을 준다고 보여진다.이에 한국은 GENIUS Act를 참고해 신속히 국내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정비하고, 민간과 공공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금융 시대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고 개인들과 관심을 갖고 지켜보면서 다가오는 디지털금융 시장을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하겠다. [프로필] 서기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교수(현)한국금융연수원 겸임교수(현)서울시민대학 사회경제분야 자문교수(전)한미은행, 한국씨티은행 재테크팀장<원문출처>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news/article.html?no=193767
서경대학교 ‘창작극단 하다심’의 네 번째 연극 ‘아니 근데 진짜’ 연출 심다하 학우 인터뷰
서경대학교 ‘창작집단 하다심’의 네 번째 연극 2025 ‘아니 근데 진짜’가 7월 31일(목)부터 8월 3일 (일)까지 평일 오후 8시, 토요일 오후 3시, 7시, 일요일 오후 3시에 서울시 종로구 혜화동 대학로 드림시어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연극 ‘아니 근데 진짜’는 2022년 초연을 시작으로 이번 연극에 재연한 작품으로, 몸이 굳어버린 배우, 사랑에 빠진 조연출, 지각하는 배우, 뒷담화하는 배우, 풀리지 않는 대본까지 끝없이 발생하는 문제들이 생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계속 연극하며 살아갈 수 있을까에 대한 내용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본 공연은 90분간 진행되었으며, 심다하 학우가 연출을 담당했다. 나원희, 박하윤, 이원엽, 오병곤, 장윤서, 한민우 학우가 출연해 열연을 펼쳤다. 또, 박정희, 임민영, 박은서, 김용현, 김서연, 한민우, 김나원, 최혜인, 이지용, 이예지, 한서현, 김초현, 이찬용, 서유선 학우는 이번 연극을 성황리에 무대에 올리기 위해 힘써주었다. 연극 ‘아니 근데 진짜’의 작/연출을 맡았던 심다하 학우를 만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 인터뷰: ‘아니 근데 진짜’ 작/연출 담당 심다하 학우 - 안녕하세요. 인터뷰에 앞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연출전공 졸업 후, 서경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창작집단 하다심’의 연극 <아니 근데 진짜>의 연출을 맡았던 심다하입니다. - 우선 이번 공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시작하고 싶습니다. ‘아니 근데 진짜‘는 어떤 작품인가요? 작품의 배경과 줄거리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연극 <아니 근데 진짜>는 2022년 초연을 시작으로 이번에 재연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창작집단 하다심‘은 공동창작으로 작품을 창작하였습니다. 모두 함께 쓰고, 함께 만들었습니다. 본 작품은 연극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무대에 올라 대사를 하기만 하면 온 몸이 굳어버리는 배우 박란희, 일을 잘하고 싶어 사랑에 빠지지 않겠다고 다짐했지만 사랑에 빠져버린 조연출 장서은, 매일 뒷담화를 하는 배우 금대엽, 공연 일주일 전 갑자기 공연을 하지 않겠다고 말하는 배우 나진주까지. 심지어 공연 당일, 모든 것이 준비된 공연장이 폭우로 침수되기까지 합니다. 모두가 이러한 난관들을 헤쳐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계속해서 이어지는 갈등과 고난들, 이런 상황에서 연출 신민철은 묻습니다. "연극을 왜 하세요?" 개인주의적 사고방식이 만연한 지금 현 시점에서, 오히려 연극은 공동체를 말합니다. 같이 살아가고, 같이 고민하며 나아가는 방식을 제시합니다. - 특히 이번 공연을 직접 각·연출을 하시면서 애정도가 상당히 높으셨을 것 같은데, 공연을 준비하며 특히 신경썼던 부분이 있었나요? 몇가지 부분이 있는데요. 첫번째로 공동창작 과정을 구성하는 데에 공을 많이 들였습니다. 저희 '창작집단 하다심'에서는 공동창작을 구성하며 단순히 같이 쓰는 것을 넘어 창작자들의 아이디어와 경험, 삶을 녹여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활용합니다. 다함께 규칙을 제안하고, 즉흥극을 구성하고, 삶에서 벌어졌던 경험을 공유합니다. 이 과정을 통하여 하나의 소재나 이야기에 대해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관객들이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제시된 이야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두번째로, '함께한다'는 것의 가치를 관객과 공유하며 단순히 연극에 대한 이야기만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닌, 삶에 대한 이야기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신경을 썼습니다. 연극에 대한 이야기이다 보니, 연극하는 사람들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로 편입되지 않도록 모든 사람의 삶에서 공감될 수 있는 부분들을 많이 담아내려 했습니다. 공연의 시작점에서, 관객은 직접적으로 ‘관객’이라는 역할을 부여받습니다. 이는 단순히 외부에 위치한 존재로서의 관객이 아닌, 공연 속 인물들과 함께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하나의 극 중 극적 존재로 위치되는 것입니다. 공연의 흐름 속에서 관객에게는 질문이 주어집니다. 그리고 답을 관객이 스스로 내림으로써, 공연은 온전히 완성됩니다. 결국 관객은 무대 바깥에서 고립된 존재가 아닌, 극의 결말부를 완성시키는 하나의 주체로서 자리합니다. 이렇게 연극 <아니 근데 진짜>는 연극이라는 것이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닌, ‘함께 만들어가는 것’에 의미가 있음에 대한 주제로 확장됩니다. - 이번 공연의 전반적인 준비과정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저희 '창작집단 하다심'은 캠퍼스타운 입주기업에 선정되어 창업 지원금을 활용하여 공연을 제작하였습니다. AI를 활용하여 공동창작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또 작품을 창작하였습니다. 공동창작 과정을 통해 즉흥극, 연극 놀이, 규칙 수립 등의 활동을 하여 작품의 의미를 구성하고, 장면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생시키고, 끊임없이 변주가 가능하도록 장면을 구성하였습니다. 스스로 만들어낸 공동체 내에서 규칙과 목표 아래 창작과 행위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집단을 지향하며 창작되었습니다. 예술이 가지는 가치는 인간 사회가 가졌던 가치가 소실될 때, 소실된 가치를 다시 언급하고, 구축하는 과정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연극은 단순히 감상 되는 예술품이 아니라, 창작자와 관객 모두가 직접 ‘지금 여기’에서 함께 존재하며 공감하고 움직이는 예술입니다. 그 직관적인 힘은 공동체적인 창작 구조를 통해 발생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작품의 인물들은 공동체 내에서 충돌하고, 포기하고 싶어하면서도 끝내 함께 질문하고 앞으로 나아갑니다. - 공연을 준비하시면서 힘들었거나 어려웠던 점이 있었나요? 공동창작으로 작품을 만들어가며 각 창작자가 가진 언어가 다를 때, 그걸 무대 위에 하나의 언어로 정렬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들었습니다. 모두가 제안한 아이디어와 의견, 각자의 경험을 단순히 하나의 길로 통일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가진 상태로 공통의 방향성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은 언제나 어려움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걸어가는 길은 같되, 바라보는 시선은 다면화될 수 있도록 많은 토론과 토의를 수반하여 작품을 창작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보여주는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하나 있는데, '진짜'라는 에피소드에서 배우 '나진주'는 공연 일주일 전에 공연을 하지 않겠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사람을 죽였다'느니, '내가 사실, 간첩이야'라느니 얼토당토 않은 이유들을 대며 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이에 대한 결말을 구성하며 정말 많은 토론이 있었습니다. 누구는 "나진주가 공연을 하지 않는 하나의 이유가 꼭 필요하다"라는 입장을 고수했고, 누구는 "좋아하는 데에는 이유가 없다. 나진주는 정말 이유를 모르고, 이유같은 건 그저 설명일 뿐이다"라는 입장을 내세우며 두 입장이 첨예하게 부딪혔습니다. 거기에서 이유가 필요하다고 말한 배우가 했던 말이 있습니다. "잘 생각해보면 아주 깊은 곳에 이유가 있다니까!!" 작품은 이유를 모르는 것으로 결론이 나지만, 그 배우의 대사는 작품 안에 녹아들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저희는 작품 창작 과정을 실제로 대본 안에 넣기도 하고, 거기에서 발생한 논쟁 자체를 관객과 함게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 공연 이후, 연출가님의 계획이 궁금한데 알려주실 수 있나요? 이번 재연을 바탕으로 작품을 더 다듬어 좋은 기회를 마련하여 페스티벌, 창작 사업 등을 통해 또 다시 공연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입니다. 연극 <아니 근데 진짜>는 무한히 변화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는, 저와 함께 공연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현 시대와 순간, 생각들을 반영하며 끝없이 변주될 것입니다. 그 때마다 정말 하고 싶은 이야기를 향해서 나아가는 작품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인 계획으로는 석사과정의 마지막 학기여서 논문을 준비 중입니다. - 각·연출가님에게 연극 ‘아니 근데 진짜'는 어떤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나요? '연극, 그리고 삶'이라는 것 위에서 우리는 '의미'를 찾기 위해서 분투합니다. 하지만 특별한 순간은 정말 발생되기 어려운 기적이면서도, 이미 발생되고 있는 현존인 것 같습니다. 어느 공연 날, 제가 꼭 하고 싶었던 말을 누군가와 나눌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너무 기쁘고 아름다운 순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내가 정말 하고 싶었던 질문이 관객에게 주어지고, 그 답을 고민하는 관객들을 보며 즐거웠습니다. 그 특별한 순간을 함께했다는 것만으로 <아니 근데 진짜>는 저에게 의미 있는 작품이 될 것 같습니다. - 마지막으로 공연을 함께한 배우, 스텝, 교수님들께도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조금은 부족하고 취약한 부분들을 함께 이해하고 나아가고 분투해주신 배우, 스탭 여러분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함께한다는 것의 가치를 믿고 그것이 의미 있음을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의 시간과 노력이 연극이 되었고, 우리의 태도가 이 작품의 윤리가 되었습니다. 매번 든든한 지지와 도움을 아끼지 않고 보내주시는 교수님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안전망과 도전 사이에서 배울 수 있도록 이끌어주신 덕분에 연극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관람해주신 관객 여러분께 모두 감사합니다. 관객 여러분과 함께 했기에, 작품이 완성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창작집단 하다심'은 함께 만든다는 가치와 약속을 지키며, 연극을 '하다'를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홍보실=장유빈 학생기자>
신재광 서경대 스포츠앤테크놀로지학과 교수, KSPO 경륜·경정, 세계 베팅산업 감시기구 IBIA와 업무협약 체결
5일 영국 런던에서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 업무협약 맺어배팅산업 선도국가로 나설 토대 마련 큰 의미 있어KSPO와 IBIA가 5일 윤리(무결성) 인증 협약을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호영 FnS 대표, 전명호 KSPO경륜경정본부 팀장, 이성철 KSPO경륜경정본부 총괄본부장, 칼리드 알리 IBIA 대표, 제이슨 폴리 트레인 IBIA 국제개발책임자, 신재광 서경대학교 교수. 국민체육진흥공단(KSPO) 경륜·경정 총괄본부(본부장 이성철)는 지난 5일 영국 런던에 있는 한국문화원 세미나실에서 IBIA(국제베팅무결성 협회·International Betting Integrity Association)와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윤리(무결성) 인증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IBIA는 세계 베팅산업의 공정성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글로벌 기구로 윤리 기준을 충족해야만 정식 베팅상품으로 인정된다. 지난 2005년에 설립해 연간 3000억 달러 이상의 스포츠 베팅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IBIA의 무결성 협약은 글로벌 스포츠 베팅 시장의 진출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통과해야 하는 관문이다.지난해 한국의 사행산업 시장은 총 매출 25조3000억원과 약 2286만 명의 이용객 수를 기록했다. 이 중 경륜·경정은 연간 매출 1조 8859억 원, 1250만 명이 이용하면서 지금까지 약 1조 9464억 원의 국민체육진흥기금을 조성, 국가 스포츠 진흥과 공공재정 확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이성철 총괄본부장은 협약식에서 “이번 협약을 통해 KSPO 경륜·경정이 K-스포츠의 위상을 높이고, 글로벌 스탠다드로 도약했음을 증명하였다”면서 “이번 협약이 성공적으로 체결되도록 협력해준 칼리드 알리 대표를 비롯한 IBIA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이번 무결성 협약으로 보호받는 국제 베팅 시장에 KSPO 경륜·경정의 우수하고 청렴한 운영시스템을 공급하고자 한다”고 전했다.IBIA의 칼리드 알리 대표는 “이번 협약은 KSPO 경륜·경정의 무결성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역의 베팅 무결성 기준 발전을 위한 중요한 진전이다. IBIA는 KSPO가 이 지역에서 깨끗하고 투명하며 책임감 있는 스포츠 베팅 운영의 기준을 세우는 것을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 우리는 이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K-스포츠 상품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라고 화답했다.협약식에 참가한 서경대학교 신재광 교수는 “이번 협약이 아시아 최초 중 하나라는 사실은 대한민국 스포츠에 있어 괄목할 만한 성과이며 위대한 업적으로 볼 수 있다"라면서 "향후 대한민국 KSPO가 아시아 국가들의 베팅 산업 리더로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했다"라고 평가했다.한편, 이번 협약식을 성사시킨 공로자 중 하나인 ㈜FnS(대표 최호영)는 스포츠 전문 컨설팅 기업으로, 3년 전부터 KSPO와 협력관계를 이뤄 해외 시장을 두드려왔다.이번 협약식에는 KSPO경륜·경정 총괄본부의 이성철 총괄본부장, 전명호 팀장, ㈜FnS의 최호영 대표, 서경대학교 신재광 교수가 참석했다. 이성철 본부장과 칼리드 알리 대표가 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원문출처>스포츠한국 https://sports.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6906148<관련기사>쿠키뉴스 https://www.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8070102한스경제 https://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6891로이슈 https://www.lawissue.co.kr/view.php?ud=2025080617414457207f28b58b8_12시사CAST http://www.sisacast.kr/news/articleView.html?idxno=79284아시아투데이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6010003077에너지경제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806023264156서울와이어 https://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664489오늘경제 https://www.startup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0104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50806132838740글로벌에픽 https://www.globalepic.co.kr/view.php?ud=202508061029151122ac3d53c8ec_29매일일보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68149이코노미퀸 https://www.quee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9692NSP통신 https://www.nspna.com/country/?mode=view&newsid=770083중도일보 https://www.joongdo.co.kr/web/view.php?key=20250806010001691웹이코노미 https://www.web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4718
[서경대 카드뉴스] 2025학년도 2학기 수강신청 총정리
<홍보실=장유빈 학생기자>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 교원과 학생이 함께하는 좋은 수업 만들기 프로젝트 성공적으로 운영
△ S-T 좋은수업 만들기 프로젝트 활동 모습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원장 정수정 교수)은 2025학년도 1학기 교수와 학생이 한 팀이 돼 수업 개선 방안을 연구하는 2025학년도 1학기 좋은 수업 만들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2025학년도에 신설된 좋은 수업 만들기 프로젝트는 교원과 학생이 함께 팀을 구성하여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전략 수립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1학기 프로그램에 총 5팀이 선정돼 참여했으며 코랩(Co-Lab)(소프트웨어학과 김선희 교수팀), BB co-work(금융정보공학과 박원주 교수팀), C어벤져스(전자컴퓨터공학과 백호길 교수팀)는 전공수업 개선을, 521호(인성교양대학 김동진 교수)와 생활법팀(인성교양대학 김종우 교수팀)은 교양수업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했다(사진 위 시계방향순). 참여 교원들은 “학생들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자로서 새로운 성장을 경험했다.”, “학생과 교수 모두에게 ‘수업을 함께 만들어 간다’는 경험의 가치를 새롭게 각인시킨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여 학생들 역시 “그동안 수업을 단순히 ‘듣는 것’으로만 생각했던 나에게 이번 경험은 수업을‘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깨닫게 해 주었다.”,“교수님과 대등한 입장에서 수업을 논의하는 경험이 학습자로서의 주인의식을 갖게 해 주었고 수업에 임하는 태도도 완전히 달라지게 했다.”등의 긍정적인 소감을 전했다. 정수정 서경대 교수학습원 원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교원과 학생이 공통의 목표 아래 이루어진 상생형 프로그램이라는데 큰 의미가 있었다.”며 “앞으로도 교수와 학습에 대해 교원과 학생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시도와 지속적인 지원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교수학습원의 좋은 수업 만들기 프로젝트 결과물은 교수학습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5/08/11/2025081101601.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8220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66869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4285 E동아 https://edu.donga.com/news/articleView.html?idxno=93290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811_0003286409 내일신문 https://www.naeil.com/news/read/557633?ref=naver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전규열의 경제 INSIGHT] "세수보다 신뢰가 먼저"...대주주 기준 하향의 역설
정부, 대주주 양도세 기준 50억 →10억 해외 투자자 및 국내 개미 반발, 자금 이탈 세수 효과도 2000억 수준 크지 않아 '추이 지켜보겠다' 한발 물러섰지만... 지난 7월 31일 발표된 정부의 세제개편안 중 양도세 대주주 기준 환원 부분 최근 이재명 정부의 세제개편안이 발표된 직후, 한국 증시는 극심한 변동성에 휩싸였고, 국내외 투자자와 정치권·시민사회의 반발도 적지 않다. 특히 해외 투자은행(씨티그룹, CLSA, JP모건 등)까지 공개적으로 ‘한국 투자 비중 축소’, 정책 비판 목소리를 내며, 정부 정책 신뢰도와 자본시장 안정성 논란이 커진 상황이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기존 종목당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크게 낮추고, 증권거래세와 법인세율을 동반 인상한 점이다. 배당소득세 역시 누진적으로 강화됐다. 정부는 ‘과세 형평’과 ‘세수 확대’를 취지로 제시했지만, 결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흘렀다. 해외 투자은행들은 이 조치가 한국 증시 활성화는커녕 투자자 불신을 부추긴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씨티그룹은 아시아 신흥국 투자 의견을 ‘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했고, 한국을 이유로 명시했다. “코리아 업(Korea Up)” 기업가치 제고 정책과 전혀 다른 길이라는 비판이었다. CLSA는 ‘채찍은 많은데 당근은 없다’, ‘시장 친화적 인센티브 없는 증세 폭탄’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JP모건 역시 “증시 추가 상승엔 긍정적 정책 시그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각사 모두 “세제개편 신호 자체만으로도 투자심리가 위축될 것”이라 지적한다. 시장 충격도 즉각 나타났다. 세제안 발표 직후 코스피는 하루 4% 가까이 급락했고, 외국인과 기관자금이 대거 이탈하면서 100조 원이 넘는 시가총액이 한순간에 증발했다. 국민청원에는 수일 만에 13만 명이상이 동참했으며, 여론조사에서는 국민 10명 중 6명, 특히 2030세대의 70% 이상이 증시에 부정적 견해를 나타냈다. 국회 전자청원 페이지(8/8일 기준) 투자자들의 우려는 “연말 대주주 기준 회피 매도”로 인한 주가 급락, 시장 변동성 확대, ‘10억 이상 주주’에 투자할 유인 자체가 사라진다는 점 등이다. 실제로 이번 개편으로 양도세 과세 대상이 6,200명에서 2만 4천여 명 이상으로 급증하리란 예상이다. 이는 소규모 투자자들에게도 세부담 전가가 이뤄진다는 의미다. 정치권 내 혼란도 크다. 정부는 세수 기반 확충을 내세우지만, 여당 내에서도 ‘시장 신뢰 저하’ ‘공약 역행’ ‘증시 악영향’ 등의 비판이 나온다. 당장 기준을 다시 조정하거나, 도입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조정론이 고개를 들면서, 정부와 여당은 10일 논란이 되고 있는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과 관련해 추이를 지켜보고서 결론 내기로 했다. 이번 논란의 구조적 문제점을 살펴보면 ▲대주주 기준 급격한 하향에 따른 연말 매도와 주가 변동성 급등 ▲소액 투자가 포함돼 투자 심리 급격 위축 ▲ 증권세율, 배당소득세 동반 인상 ▲시장 불안과 신뢰 붕괴, 정책 일관성 문제 ▲ 글로벌 기준(모든 투자자에 과세)과 달리 일부에만 과세하는 ‘예외적’ 체계 해외 투자은행들도 한국 대주주 기준이 투자 왜곡·비효율을 키우며, 글로벌 조세체계와 동떨어진 선택적 과세는 행정 효율성, 형평성 논란을 심각하게 유발한다고 경고한다. “자본시장만 유독 중과세”라는 역차별도 계속 제기된다. 이에 투자자와 전문가들은 ▲정책 조율과 시장과 충분한 소통, 세제안 보완 ▲연착륙 위한 단계적 시행 ▲시장안정 위한 연말 매도폭탄 방지 및 투자자 보호 장치 강화 ▲장기 투자 유도 및 글로벌 기준 정합성 추구 등을 대응책으로 주문한다. 정부는 미래성장, 증시 신뢰, 장기 투자환경 구축이 세수 확대 못지않게 중요함을 인식해야 한다. 정책 예측 가능성과 신뢰 없이 추진되는 일방적 ‘증세’는 시장 기반을 근본적으로 해친다. 일관성 있는 대화와 세밀한 정책 조율만이 시장을 살리고, 투자자 신뢰를 회복하며, 자본시장을 진정한 선진시장으로 이끌 수 있다. 이번 세제 파동은 “더 많은 세금보다 더 많은 신뢰가 더 큰 가치를 만든다”는 평범한 진실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다. <원문출처> 반론보도닷컴 https://www.banronbod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