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 TODAY

    3983

    서경대 교내 학과별 소모임, 어떤 게 있나? #1 <인문대, 사회과학대, 이공대 소모임>

    2022년 2학기에는 대부분의 수업이 대면으로 전환됨에 따라 강의실과 캠퍼스 이곳 저곳에는 코로나 19 사태 이후 가장 많은 학생들로 붐비고 있다. 강의나 실습이 대면으로 이루어지면서 학교에 나온 학생들이 수업을 전후해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별도로 모이거나 모임을 갖는 등 대외 활동도 크게 늘고 있다. 이에, 각 학과별로 친목, 취미생활, 자기계발 등을 목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소모임(과동아리)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들 소모임은 6개 이상의 학과 학생들로 이루어지는 교내 중앙동아리와 달리, 각 학과 학생들만으로 구성돼 운영된다는 특징이 있다.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없어지거나 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소모임들이 많아 아쉽지만, 2학기부터 새로 만들어지거나 활동을 재개한 소모임도 적지 않다. 지금부터 각 학과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소모임(과동아리)을 소개하고자 한다.   <경영학부> 1. 족구‧풋살 소모임 ‘씨져스’ 족구, 풋살을 통해 취미생활을 함께 하며 경영학부 학우들간 친목을 다지는 ‘씨져스’는 매주 금요일 3~4시 정기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43명의 경영학부 학우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남녀 구분없이 누구든지 회장에게 연락하여 가입할 수 있다. 정기적으로 운동과 회식이 진행되고, 그 과정에서 졸업한 경영학부 선배들도 만날 수 있는 기회도 있다.   2학기에는 정기 운동과 회식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시험이 끝난 후 코로나 19 사태 이후 첫 MT를 기획중에 있다. 소모임 인원은 상시 모집중이라고 하니 경영학부 학우들은 운동에 관심이 있다면 ‘씨져스’에 가입하여 운동도 하고 친목도 다지며 자기계발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자.   아래 회장 연락처로 연락하여 가입할 수 있다.   경영학부 ‘씨져스’ 회장 박주영 010-5580-7023   2. 락밴드 소모임 ‘락온’ 락 장르의 밴드활동을 통해 경영학부 학우들간의 친목을 다지는 ‘락온’은 ‘화락’과 ‘슬릭’이 합쳐져 생긴 경영학부 락밴드 소모임이다. 현재 25명의 경영학부 학우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활동하는 요일은 정해져 있지 않고, 공연 시즌 때 주로 활동한다.   2학기에는 축제 공연과 연말 자체 공연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위한 활동과 회식들도 계획되어 있다. 현재도 소모임 인원을 상시로 모집하고 있다고 하니 락밴드에 관심있는 경영학부 학우들은 ‘락온’에 가입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보내도록 하자.   아래 회장 연락처로 연락하여 가입할 수 있다.   경영학부 락온 회장 신정섭 010-5225-4406 경영학부 락온 회장 정지홍 010-8623-8752   3. 어쿠스틱 밴드 소모임 ‘꽃과 어린왕자’   어쿠스틱 장르의 밴드활동을 통해 경영학부 학우들간의 친목을 다지는 ‘꽃과 어린왕자’는 현재 경영학부 학우 3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기적으로 활동하는 요일은 따로 없으며, 각자 여유 시간에 맞추어 자발적으로 활동하며 꾸준히 회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는 1차 모집을 완료한 상태이며, 2차 추가 인원 모집은 축제 공연 종료 후 이루어질 예정이다.   2학기에는 서경대학교 교내 축제 공연, 교내 카페 SP에서 진행하는 정기공연과 소모임 MT를 기획하고 있다. 공연과 MT 모두 코로나 19 사태 이후 처음 시행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축제 공연 준비와 11월 말 정기공연 준비를 10월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경영학부 ‘꽃과 어린왕자’ 회장 안동회 010-3458-618   <군사학과>   1. 풋살 소모임 ‘로망스’   축구 및 풋살 활동을 통해 군 장교를 희망하는 군사학과 학생들의 체력 증진과 학과 차원의 사기 진작, 선후배 간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군사학과 소모임, ‘로망스’는 군사학과 2, 3, 4학년 학생과 학군단 후보생 4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1학년의 경우 부상을 입으면 군장교 선발 체력 평가에 지장을 줄 수 있어 입부를 제한하고 있다. 물론, 2, 3, 4학년이 되면 언제든 입부 가능하며 주도적으로 참여해 끈끈한 선후배 관계를 만들 수 있다.   일주일에 1~2번 서경대학교 풋살파크에서 자체 연습 및 타 학과와의 경기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인문대-사회과학대 체전에서 군사학과가 풋살 우승을 거머쥘 수 있었다. 2학기에는 1학기와 동일하게 일주일에 1~2번 활동하며 부원들 간의 관계를 돈독히 하려고 한다. 1학기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회식이 어려웠으나 2학기에는 회식을 기획하고 있다.   1학기 시작 전, 학년 톡방에 소모임 홍보글을 통해 부원을 모집하며, 그 이후에도 동기 추천을 통해 입부하기도 한다. 부원은 상시로 모집하고 있으므로 회장에게 연락을 주면 가입할 수 있다고 하니 가입하여 군사학과 내에서 동기와 선후배 간의 돈독한 관계를 맺어보자.   군사학과 ‘로망스’ 회장 김태완 010-2339-7476   <아동학과>   1. 우쿠렐레 소모임 우쿨렐레 연주를 배우면서 교양을 다지고 선후배, 동기 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아동학과 우쿨렐레 소모임은 약 10명의 학우들이 활동한다. 활동 시간은 학기마다 상이하지만, 주 1회 1-2시간 씩 꾸준히 활동하고 있으며 희망자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학우들은 예비교사로서 현장에서 아이들과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 전문 강사와 함께 우쿨렐레의 기본 코드와 간단한 동요를 연습하는 활동들을 하고 있다. 우쿠렐레를 전공 교과목 시간에는 배우지 않지만 실제 현장에서 유익하게 쓰이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아동학과 내에서 우쿨렐레 소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추가 인원은 10월 중 모집할 예정이며, 우쿠렐레에 관심있는 아동학과 학우들은 10월 중 공지를 잘 확인해보도록 하자.   <인문대>   밴드 소모임 ‘철인’   인문대 학생들 간에 연주를 함께하며 친목을 다지는 밴드 소모임 ‘철인’은 27명의 학우들로 이루어져 있다. 학과별로 소모임이 있는 것과는 다르게, 인문대 내의 소모임이라는 것이 특별하게 다가온다.   ‘철인’의 활동 날짜와 시간은 항상 유동적이나 현재는 화요일, 목요일 저녁에 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인을 통한 소개 또는 정기적 공지를 통해 신입 부원들을 모집하고 있다. 현재는 인문대 대상으로 모집 공고를 올렸으며, 2학기에는 합주, 공연준비, 친목 활동들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인문대 내의 밴드 소모임에 관심있는 학우들은 아래 연락처를 통해 가입 문의를 해보도록 하자.   인문대 철인 회장 안민우 010-4754-4798   <컴퓨터공학과>   컴퓨터공학과는 2개의 소모임이 존재한다. 두 개 모두 전공과 관련된 스터디 분야이며, 현재 활발하게 체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1. 로봇 스터디 소모임   컴퓨터공학 전공 스터디인 로봇스터디 소모임은 영상 처리 및 센싱을 통한 로봇 제어와 필요 시,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사용하며 스터디를 진행한다. 현재 총 25명의 인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2월 주 1회 2시간씩 사전 교육을 진행하고 그 이후에는 조별로 각자 시간을 잡아 활동해 오고 있다.   스터디에서는 사전교육을 통해 영상처리 지식을 습득하고, 공모전 및 대회 참여를 통해 실전 경험을 익히며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스터디에 참여함으로써 학과 내 선후배, 동기들과 교류하며 친목을 다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2018년부터 Intelligent SoC Robot War, 인텔 AI 드론 경진대회, 임베디드소프트웨어 경진대회, 미니드론 자율비행 경진대회, SRC IRC 키트 리그 등의 대회에 출전하여 본선에 진출하거나 다양항 수상을 통해 풍부한 경험을 쌓기도 했다.   스터디원은 매년 겨울방학, 학과 내에 모집공고를 게시하여 인원을 모집한다. 인원제한이 없다고 하니 체계적인 로봇스터디와 대회 참가에 관심있는 컴퓨터공학과 학우들은 겨울방학 학과 내 모집공고를 관심있게 보도록 하자.   컴퓨터공학과 로봇스터디 회장 문성욱 010-9336-3383   2. 알고리즘 스터디 소모임   알고리즘 스터디 소모임은 최근 IT계열에 취업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코딩테스트를 준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러한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약 20명의 컴퓨터공학과 학우들이 모여 총 4개의 조로 활동하고 있다.   조 단위로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데, 월마다 하나의 알고리즘을 주제로 선정하여 4명의 조장들이 매월 돌아가면서 주제와 관련된 문제를 해설하는 영상을 미리 올려준다. 조원들은 영상을 보며 먼저 학습하고, 이를 응용하여 주마다 선정한 1~2문제를 서로 풀어오고 1명씩 코드를 발표한다. 발표가 끝난 뒤엔 피드백 시간을 가진다.   알고리즘 스터디는 2월 OT를 기점으로 인원을 모집하여 지금까지 활동해 왔으며, 2학기 종강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진도의 차이가 있다보니, 추가모집 예정은 없다.   컴퓨터공학과 알고리즘 스터디 회장 이태근 010-4876-0419   <홍보실=안희진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2023~2025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GKS) 수학대학(학사/석·박사)’ 신규 선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의 ‘2023~2025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GKS) 수학대학’에 신규 선정됐다고 밝혔다.   정부초청 장학제도는 국가 차원에서 전 세계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국가 브랜드를 제고하는 동시에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한 국내 대학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의 대표적인 장학사업으로, 국립국제교육원은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교육, 지원 및 관리 역량을 갖춘 우수 대학을 선정해 장학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신규 선정된 서경대학교는 학사 및 석·박사 과정 외국인 장학생 유치 사업에 모두 참여하며,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우수한 외국인 장학생을 선발하고 한국어 연수 1년, 학사 4년, 석사 2년, 박사 3년의 전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정부초청 장학생에 선발된 학생은 한국어학당 수업료, 항공료, 정착지원금, 생활비, 의료보험료, 대학원과정 등록금 전액, 귀국준비금 등 한국에서 공부하는 데 필요한 대부분의 비용을 국립국제교육원으로부터 지원받는다.   최영철 서경대 총장은 “서경대학교는 글로벌 실용교육 중심 대학을 표방하는 학교로 성장하고 있는 만큼, 우수한 글로벌 인재를 교육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며, “서경대학교에서 제공하는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의 교육과정 및 지원, 관리를 통해 이들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서경대 GKS사업단의 단장인 박부남 교수(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는 “이번 사업에 서경대가 선정된 것은 본교가 국제화 역량을 갖춘 대학으로 지난 3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을 연속 획득했으며, 2018년부터 수행한 국립국제교육원 주관 GKS(Global Korean Scholarship) 사업을 훌륭하게 해낸 결과”라며 “이같은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외국인 장학생들이 서경대학교에 와서 학업을 잘 이행하고 목표한 바를 이룰 수 있도록 교무처와 협력해 수준 높은 교육과 체계적인 지원을 최선을 다해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GKS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박봉현 교수는 2022년 현재까지 진행되어 오고 있는 5년 간의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사업의 성공적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수학대학 프로그램을 철저하게 준비할 예정이다.   한편, 서경대학교 GKS사업단에서는 지난 9월 1일(목)부터 2022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대학원) 한국어 연수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에는 32개국 47명의 외국인 장학생이 참여하고 있다. 9월 5일(월)에 한국어 연수과정 입학식을 진행했으며, 장학생들은 1년 동안 본교에서 한국어과정을 이수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KDI국제정책대학원 등의 다른 대학으로 진학해 석·박사 과정을 이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10/06/2022100600959.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7339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1006110336626524&titleGbn=&page=1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95303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1507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893 내일신문 http://m.naeil.com/m_news_view.php?id_art=437739

    썸네일

    서경대 2022년 2학기 비교과 프로그램 어떤 게 있나

    서경대학교는 매 학기마다 취창업지원센터, 진로심리상담센터, 인성교육센터, 교수학습지원센터 등 각 센터별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이란 학점을 이수하기 위한 전공 및 교양 교육과정 이외에 학생들의 핵심역량 개발 및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학점이 부여되지 않는 교육활동을 뜻한다. 진로 및 취창업 관련 프로그램부터 지친 학교생활에 쉼표가 되어줄 프로그램까지 2022학년도 2학기에 개설,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은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자. 1. 2022학년도 S-Learning Academy 글쓰기 첨삭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에서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22학년도 S-Learning Academy 글쓰기 첨삭’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학부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글의 장/단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E-mail을 이용하여 전문가에게 1:1로 맞춤형 첨삭을 받아볼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참여 학생의 글의 주제 및 형식에 따라 사전에 확인된 교강사의 전문 분야와 연계해 매칭된다. 매칭 이후 E-mail을 통해 첨삭이 실행되며 교강사는 자료확인 후 1주일 이내 첨삭 내용을 전달하고, 참여 학생은 내용수정을 진행한다. 필요에 따라 첨삭 재신청을 통해 1회 첨삭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후 참여자 완성 글 보고와 만족도 조사 및 피드백으로 프로그램을 끝마칠 예정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하단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7일(수) ~ 2022년 11월 30일(수)(상시모집) https://www.skuniv.ac.kr/216713 2. 2022학년도 2기 서경스타트업스쿨(SeoKyeong Startup School)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에서 ‘2022학년도 2기 서경스타트업스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창업교육의 체계화 및 기초창업과정을 부담없이 학습하기 위해 창업에듀를 활용한 서경대학교 만의 맞춤형 패키지 과정을 개설하여 재학생들에게 창업의 단계별 이론 및 실무 중심의 창업 강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총 5개 과정 41개 강좌로 이루어져 있다. 5개 과정으로는 기업가정신과 기술창업의 이해, 창업아이디어 도출 및 선정,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방법, 창업마케팅전략, 창업기초실무가 있다. 신청방법은 (창업에듀) 접속 > 회원가입 > ‘패키지과정’의 ‘맞춤형 패키지’ 클릭 > 검색창에 ‘서경대학교’ 입력 후 검색 > 서경대학교 검색 후 개별 과정 클릭(최신순 정렬 기준 5개 과정) > 화면 하단에 ‘수강 신청하기’ 클릭 후 학습하기를 진행하면 된다. 이때 ‘수강 신청하기’를 통해 과정을 신청해야만 수료처리가 되며 수료증이 발급된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이후 서경대학교 S.S.S(SeoKyeong Startup School) 5개 과정 학습 후 과정별 수료증을 창업지원센터 이메일(changup@skuniv.ac.kr)로 이름, 학과, 학번을 기재하여 제출하면 취창업지원센터장 명의의 수료증이 발급된다. 해당 프로그램은 하단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신청 방법 및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운영기간 : ~ 2022년 12월 31일(토) https://www.skuniv.ac.kr/216292 3. 2022학년도 2차 창업동아리 프로그램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에서 ‘2022학년도 2차 창업동아리 프로그램’ 2차 추가 모집을 실시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창의적인 아이디어 또는 사업아이템을 보유한 본교 재학생 창업동아리를 발굴하여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우수 창업자로 양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으로 정규학기 이내의 서경대학교 재학생이어야 하며(휴학생은 팀원 자격으로만 참여 가능) 전임교원 이상의 지도교수 선정이 필수이다. 창업동아리 팀별 자치활동을 진행하고, 매주 목요일 월례회를 진행한다. 또한 2022학년도 2학기에 취창업지원센터에서 진행되는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석해야 하고 2022학년도 2차 서경스타트업스쿨을 필수로 수료해야 한다. 지원금은 팀당 최대 50만원 이내로 받을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하단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신청 방법 및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청기간 : ~ 2022년 10월 5일(수) https://www.skuniv.ac.kr/217253 4. 2022학년도 2학기 취업동아리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에서 ‘2022학년도 2학기 취업동아리 프로그램’ 추가 모집을 실시한다. 동일한 직무 및 직종의 취업목표를 가진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동아리를 결성하여 취업정보 공유 및 학습을 통한 체계적인 취업준비를 위해 다음과 같이 취업동아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다. 모집형태는 동일 직무 취업동아리, 직무 관련 자격증 대비, 자기소개서&면접 집중 동아리, 공무원 준비 등 희망하는 분야별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자율동아리이며 매월 1회 동아리 자체 오프라인 활동, 매월 취업동아리 활동보고서 제출, 매월 지출내역 및 증빙서류 제출, 활동 종료 후 최종 결과보고서 제출, 취업동아리 활동 성과보고회 참석이 필수로 진행되어야 한다. 혜택으로는 동아리별 활동비(30만원) 지원이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하단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신청 방법 및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청기간 : ~ 2022년 10월 5일(수)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search_keyword=%EB%8C%80%ED%95%99%ED%98%81%EC%8B%A0&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216114 5. 2022 동계 취업연계중점대학 연계 집중프로그램 신청 안내(마케팅/광고홍보/콘텐츠)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에서 ‘2022 동계 취업연계중점대학 연계 집중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교과과정 중심에서 실무경험 및 역량 중심으로 변화하는 취업시장에서 단순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뿐 아니라 포트폴리오 제출을 요구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원자의 다양한 실무 경험이 담긴 포트폴리오 작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이력서 작성부터 포트폴리오 제작 지원, 모의 면접까지 다각적인 지원을 진행하는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하단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신청 방법 및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28일(수) ~ 2022년 10월 10일(월)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document_srl=217486 6. tci 기질 및 성격검사를 활용한 강점 탐색 프로그램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tci 기질 및 성격검사를 활용한 강점 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나의 기질과 성격을 알아보고 나만의 색깔(강점)을 찾아보는 프로그램이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0월 20일 7. '브라보, 마이 라이프' 진로맵 그리기 진로탐색 프로그램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브라보, 마이 라이프' 진로맵 그리기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자신과 직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진로 로드맵을 작성해볼 수 있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0월 27일(목) 8.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나만의 디퓨저 만들기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나만의 디퓨저 만들기’를 시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유담관 L층 CLC존에서 대면으로 진행되며 아로마 테라피 활동으로 향기에 대해 배우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0월 30일 9. '안녕히 계세요 스트레스 여러분~' 영화로 풀어보는 스트레스 집단프로그램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안녕히 계세요 스트레스 여러분~' 영화로 풀어보는 스트레스 집단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영화 클립을 함께 보며 나의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해소까지 할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1월 7일 10. 요가와 멘탈릴렉스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요가와 멘탈릴렉스’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요가 동작을 배워보고 마음 건강을 챙기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도록 진행된다. 방바닥 등 요가 동작을 시행할 수 있는 환경에서 들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1월 10일 11. '나의 벽을 넘어서' 진로설계(3,4학년) 프로그램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3, 4학년을 위한 ‘나의 벽을 넘어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3, 4학년을 대상으로 나의 경험을 다루어 구체적인 미래 계획을 세워볼 수 있도록 돕는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1월 16일 12. '나는 왜 관계가 고민될까?' 대인관계 고민상담소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나는 왜 관계가 고민될까?’ 대인관계 고민상담소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관계에 대해 고민을 함께 나누고, 건강한 관계를 맺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1월 21일 13. '미리 그려보는 나의 미래' 진로탐색(1, 2학년) 프로그램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1, 2학년을 위한 ‘미리 그려보는 나의 미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1, 2학년을 대상으로 일과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구체적인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1월 24일 14. '나 사용 설명서 제작 클래스' 진로탐색 프로그램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나 사용 설명서 제작 클래스’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개인의 삶에 영향을 주는 흥미와 행동양식, 욕구와 스트레스 행동 및 조직상황에서의 업무스타일 등에 관한 검사인 버크만 검사를 통해 나의 강점, 흥미, 성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진로 목표를 설정해볼 수 있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1월 27일 15. '나'를 브랜딩하다 퍼스널 브랜딩(기초)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나'를 브랜딩하다 퍼스널 브랜딩(기초)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진로 코칭을 받으며 나의 경험과 특성을 이해하여 콘텐츠로 구성하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12월 4일 16. '나의 대인관계 점검' 대인관계 향상 미술매체 프로그램1, 2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나의 대인관계 점검' 대인관계 향상 미술매체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유담관 L층 CLC존에서 대면으로 진행되며 미술활동을 통해 나의 관계 방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미술 실력과는 상관 없는 활동이니 부담없이 신청이 가능하다. 2회로 나누어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므로 가능한 시간에 맞추어 신청할 수 있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3년 1월 11일/ 2022년 9월 1일 ~ 2023년 1월 19일 17. 자기성장 미술 매체 상시 프로그램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 자기성장 미술 매체 상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22학년도 2학기동안 상시 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 매주 화요일 1회기 50분씩 5회기가 진행된다. 서경대학교 포털 > 학부 > 비교과프로그램 > 일반역량강화프로그램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 : 2022년 9월 1일(목) ~ 2022년 2월 27일 <홍보실=박주빈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 ‘네트워킹 데이’ 성료

    인생나눔교실 성과 중간점검 및 참여자 간 네트워킹 진행 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 ‘인생의 2막을 걸어가는 당신에게’ 주제로 강연도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는 ⌜2022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네트워킹 데이&를 성황리에 마쳤다. ⌜인생나눔교실⌟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와 전국 5개 권역(수도권, 강원권 등)이 주관하는 사업이다. 특히,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는 5년째 수도권역을 담당하며 다른 세대와의 교류를 통해 세대 간 격차를 해소하고, 인문정신문화의 가치 확산을 목표로 사업을 운영 중이며, 주요 사업으로는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가 있다. 그 중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는 인생나눔교실 참여자 간의 소통을 위한 네트워킹 플랫폼으로, 인생나눔교실 속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함께 방법을 모색하며 인문가치를 나누기 위한 사업이다. 대면으로 진행된 올해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의 &네트워킹 데이&는 사업관계자 총 60여 명이 참여하였으며, 2022년 인생나눔교실 진행 현황을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통해 앞으로 만나게 될 멘티들의 특성에 대해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하반기에도 계속해서 의미 있는 멘토링을 이어나가기 위해 마련된 자리이다. 특히 이번 &네트워킹 데이&에는 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前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가 참석해, 아름다운 인생의 2막을 준비하고 있는 중·장년세대 인생나눔교실 멘토들을 대상으로 &인생의 2막을 걸어가는 당신에게&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올해에는 특별히, 멘티와 더불어 멘티기관 담당자 및 졸업멘토까지 함께 네트워킹에 참여하였으며, 멘토들의 담당 멘티와 직접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그룹을 구성하여 그동안의 경험과 사례를 통한 멘티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경청한 내용이 현장에 반영될 수 있도록 &그룹 네트워킹&의 시간을 가졌다.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김민하 교수(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는 &사람이 곧 문화&라며, &멘토들의 행동과 생활 모습이 멘티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쳐 건전한 문화를 만들어가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교수는 또, &박양우 대표이사의 강연을 통해 멘토들의 인생길에 값진 이정표가 되었기를 바라며, 앞으로 참여자 모두 인문적 가치가 더 발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상의 멘티를 폭넓게 이해하고, 하반기에도 의미 있는 인문멘토링 활동을 이어가길 바란다.&고 멘토들을 응원했다. 한편,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는 내년 1월 중 진행될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 성과공유회&를 통해 올해의 사업성과와 인문활동 사례를 함께 나누고, 참여자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향후 인생나눔교실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10/04/2022100402127.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6731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1004154753887402 한국대학신문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34880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1193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94849 메트로신문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21004500511

    썸네일

    서경대학교 학생 사회프로젝트 단체 ‘SO.RA’, 유기동물 인식 개선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 개시해 ‘눈길’

    서경대학교 학생 9명으로 이루어진 사회프로젝트 단체 ‘SO.RA’가 10월 1일 유기동물 인식 개선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을 시작하게 돼 눈길을 끌고 있다.   ‘SO.RA’는 Social Radio의 줄임말로, 세상의 다양한 소식들을 빠르게 전하는 라디오처럼 ‘여러 사회 문제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팀'이 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SO.RA’는 서경대학교 중앙동아리 ‘연지’ 회원 가운데 뜻을 같이하는 시각디자인전공, 경영전공, 나노화학생명공학전공의 학우 9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SO.RA’는 8개월간 유기동물 인식 개선 프로젝트로 텀블벅에서 크라우드 펀딩을 준비해 왔으며, 10월 1일 크라우드 펀딩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크라우드 펀딩이란 대중을 뜻하는 크라우드(Crowd)와 자금 조달을 뜻하는 펀딩(Funding)을 조합한 용어로,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SO.RA’는 펀딩을 통한 후원금을 활용해 유기동물 인식 개선을 위한 제품 제작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SO.RA’ SNS 채널 홍보, 펀딩 제품의 구성과 디자인, 상세 페이지까지 직접 제작했다.   ‘SO.RA’가 이런 과정들을 진행하는데 서경대학교의 전공 수업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SO.RA’의 펀딩 진행과정 이야기를 더 자세히 들어보기 위해 팀 리더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 자기소개와 팀소개 부탁드립니다.   최정은: 안녕하세요. 저는 ‘SO.RA’의 팀장으로, 서경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에 재학중인 21학번 최정은이라고 합니다. 저희 팀 ‘SO.RA’는 서경대학교 재학생 9명으로 이루어진 팀으로, 경영학부, 시각정보디자인학과, 나노화학생명공학과 등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조하진: 안녕하세요, 펀딩 프로젝트팀 ‘SO.RA’의 부팀장을 맡고 있는 나노화학생명공학과 21학번 조하진입니다. 저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SO.RA’ SNS 컨텐츠 기획 및 제작, 관리를 주로 담당하였습니다.   - 펀딩을 진행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최정은: SNS를 보다가 광고로 뜬 다른 대학생 펀딩 프로젝트 팀의 게시물을 보게 되었어요. ‘이런 일을 주도적으로 하는 열정적인 대학생들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비슷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싶었습니다. 주변에 다른 프로젝트 팀이 따로 존재하진 않으니 제가 직접 펀딩에 뜻이 있는 사람들을 모아 팀을 만들어서 활동해보고 싶었고, 평소 관심이 있었던 여러 사회 문제와 프로젝트 팀을 결합시켜 사회 전반적인 일들에 도움이 되는 대학생 펀딩 프로젝트 팀을 목표로 팀원들을 모으게 되었습니다.   - 펀딩 주제를 ‘유기동물’로 선정한 이유가 있나요?   조하진: 우리나라는 아직 올바른 반려동물 문화가 자리잡지 못했고, 동물보호법이나 관련 제도들도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요. 그만큼 유기동물 발생률이 매우 높고, 뉴스나 SNS에서도 동물유기, 동물학대 등의 소식을 자주 접해 왔기 때문에 유기동물 문제가 크게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동물학대가 잘못된 행동이 아니라고 생각하거나, 유기동물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도 아주 많아요. 저희의 프로젝트를 통해 그런 분들의 인식을 조금이라도 바꿀 수 있다면 매우 뜻깊은 활동이 될 거라는 생각으로 주제를 정하였습니다.   - 펀딩을 오픈하기까지 어려웠거나 힘들었던 것이 있었나요?   조하진: 아무래도 제품을 디자인하고 샘플링하는 과정이 매우 길고 힘들었던 것 같아요. 저희만의 캐릭터를 창작하는 것부터 시작해 각 제품별로 다른 디자인을 구상했고, 여러 번의 수정을 거치느라 디자인 담당하신 팀원분들이 아주 많이 고생하셨죠. 그리고 저희가 원하는 최고의 퀄리티를 얻기 위해 여러 업체에 주문해보고, 재질이나 디자인을 다시 수정하느라 오랜 기간을 거쳤어요.   - 그 어려움들을 어떻게 극복하였나요?   조하진: 처음에는 모든 과정에서 팀원 모두가 참여해 의논했었는데, 진행하다 보니 비효율적인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하나를 조사하고 결정하는데 모든 인원이 참여하다 보니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의견도 너무 많아지더라고요. 그래서 기획팀, 디자인팀, 인스타관리팀으로 나누어 각자의 전공 및 관심분야에 맞게 팀원들을 나누고 일을 담당하니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개인의 부담이 덜어져서 좋았어요.   - 시각정보디자인학과와 경영학과의 협업아 어떤 시너지를 주었나요?   최정은: 서로의 주력 분야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부족한 점을 보완해주며 장점을 살리는 팀 활동을 할 수 있었어요. 예를 들어 디자인학과는 제품 디자인 제작, 홍보 이미지 제작, 제품 사진 촬영, 인스타툰 제작 등 디자인적인 요소들을 모두 맡아 진행하였고, 경영학과는 제품 별 시장조사, 단가 책정, 카드뉴스 자료 조사 등 기획, 회계와 같은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도움을 주셨습니다. 서로가 잘 할 수 있는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었기 때문에,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자는 생각으로 팀원 모두가 협업해줘서 좋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 학과에서 공부한 내용이 어떤 부분에서 도움이 되었나요?   최정은: 전공 수업을 통해 브랜드 기획과 아이덴티티 디자인 작업을 미리 경험해 본 적이 있었어요. 브랜드를 기획하고, 제품의 디자인을 만드는 활동을 미리 해봤기 때문에 제품을 제작할 때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사진 전공을 수강한 팀원들이 사진을 연출하는 방법, 조명 사용법, 실제 촬영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미리 경험해봤기 때문에 제품 사진도 더 전문적인 촬영이 가능했습니다.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으신가요?   최정은: 사실 길어봐야 4,5개월 동안 진행할 거라는 가벼운 생각으로 팀원들을 모으고, 진행했던 프로젝트였는데 생각보다 할 일이 많아 어느덧 8개월이 다 되어서야 프로젝트가 끝이 보이게 되었습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본인이 맡게 된 역할과 일도 많았고, 기간도 길어져서 팀원들 모두 부담이 컸을 텐데 티내지 않고 잘 따라와 주고, 이해해 주어서 감사했습니다. 모두들 열정적인 팀원들이 모였던 만큼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다들 많은 경험을 해보고, 개인적인 발전이 있었다고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저희의 많은 노력, 열정이 담긴 제품들이 10월 1일부터 펀딩을 시작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텀블벅 상세 페이지 링크 https://tumblbug.com/team_sora   서경대학교의 9명의 학우들이 8개월 동안 열심히 준비하고 노력하여 완성한 펀딩인 만큼 한 번씩 관심을 갖고 응원해 주도록 하자.   <홍보실=안희진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X성북TV’의 성북구 알리기 시즌2 프로젝트 ‘성북피플인사이드’ 시리즈 네번째 영상 ‘성북구 종암동, 인디학교편’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돼 ‘큰 인기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의 성북구 알리기 시즌2 프로젝트의 네번째 영상이 업로드 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성북피플인사이드'라는 제목으로 진행되고 있는 해당 영상 시리즈는 서경대 청문단이 직접 기획, 촬영, 편집 등 제작 전 과정에 참여하고 있어 더욱 의미가 크고 지역사회 주민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성북피플인사이드> 네번째 영상 썸네일 시즌1이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라는 빅 미션을 수행하는 예능방식으로 각 편마다 재미있는 에피소드로 영상의 유니크함을 살려냈다면 시즌2는 <성북피플인사이드>로 서스펜스 잠입물 형식의 웹예능 콘텐츠로 성북구 명사와 유명 장소를 소개한다.  <성북피플인사이드> 네번째 영상 썸네일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되는 <성북피플인사이드>는 주인공 서울시 본부 'S요원'이 성북구 곳곳에 있는 사람들의 의식 속으로 잠입하여 주어진 시간 내에 그들의 정보를 빼내온다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제작된 콘텐츠로, 이번 영상에서는 성북구 종암동 인디학교, 송민기 교장 선생님의 의식 속으로 들어가 임무를 수행하는 모습을 담았다.   5분이라는 한정된 시간 속에서 인터뷰를 진행하며 자칫 뻔할 수 있는 소재를 창의적인 스토리 구성으로 학교 밖의 학교, 인디학교의 이야기를 뻔하지 않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이번 화에서는 개학시즌을 맞아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고 있는 학교밖의 학교를 키포인트로 잡고 성북구에 단 하나 있는 대안학교인 인디학교를 소개하며 대안학교 뿐만 아니라 성북구의 이미지를 '청소년들의 마을'로서 새롭게 브랜딩하는 내용을 담고자 노력했다.   추후 주인공 S요원의 행보와 드러나지 않은 S요원 및 서울시 본부의 정체가 콘텐츠의 핵심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성북구가 가진 문화자원들에 서경대학교 청문단 단원들의 창의적인 콘텐츠 기획력이 더해져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썸네일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 이·미용 기능장 2명 배출하는 성과 거둬

    강문희 최부경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이 이·미용분야 최고수준의 국가기술 자격인 이·미용 기능장 2명을 배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영광의 주인공은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에서 이·미용 기능장 교육과정을 수학한 최부경(현대미용학원) · 강문희(로이드밤 산곡점, 휴이엠 인천송현점) 원장으로, 이들은 제 72회 기능장 시험에서 각각 이용장과 미용장의 최종합격자로 이름을 올렸다.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는 이·미용 기능장 시험은 매년 두 차례 치러진다.   합격자들은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에서 운영하는 이·미용 기능장 교육과정에 일반과정과 집중과정의 교육을 받아왔다.   최부경(현대미용학원) 원장은 “예술교육원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할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며 “특히 교수님의 열정적인 가르침을 통해 이용기술을 빠르게 습득하게 되어 합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강문희(로이드밤 산곡점, 휴이엠 인천송현점) 원장은 “미용장 시험이 쉬운 도전이 아닌 많은 연습이 필요한 과정이지만 최고의 교수님들의 열성적인 가르침과 응원으로 짧은 기간에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었고 이번에 이를 통해 학사학위 취득을 위한 예술교육원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에서도 조기졸업을 하게 돼 기쁘다.”면서 “미용장으로 학점을 취득한 덕분에 내년에 대학원 입학을 할 수 있어 마음이 더욱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용장과 미용장은 이·미용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숙련 기능자에게만 주는 대한민국 공인인증 자격증으로, 지원자는 이·미용사 자격 취득 후 동일 분야에서 7년 이상 경력을 쌓아야 시험에 응시할 수 있어 합격자는 선망의 대상으로 꼽는다.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은 2022년에 이·미용 기능장 교육과정을 처음으로 개설하였으며, 제1기 수강생에서 미용장과 이용장 합격생을 배출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은 현재 2023학년도 상반기 학점은행제 신·편입생 및 이·미용 기능장 교육과정 2기생을 모집 중이다. 자세한 사항은 예술교육원 홈페이지(https://lifeedu.skuniv.ac.kr)를 참고하면 된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09/30/2022093001275.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5891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0819

    썸네일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 ‘창업역량 강화 교육’ 실시

    21개 입주팀 및 일반인 대상 경영마인드 고취 및 사업화 기초역량 강화 위한 강연 진행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우수한 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는 초기 창업기업 및 예비 창업자(팀)를 지원, 육성하기 위한 ‘창업역량 강화 교육’을 10월 7일(금), 8일(토) 2일간 유담관 L층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창업역량 강화 교육’은 캠퍼스타운 창업경진대회를 통해 선정된 21개 창업팀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창업지원금 지원, 무상 입주 사무실 사용 안내 등과 같은 오리엔테이션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입주 기업팀의 실질적인 판로개척 및 투자유치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User Story의 개념 이해’, ‘Backlog의 개념 이해’, ‘Product Backlog 작성 실습’ 등과 같이 창업팀의 경영마인드 고취 및 사업화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강연들이 준비되어 있다.   서경대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장인 김범준 부총장은 “이번 창업역량 강화 교육을 통해 경영자로서의 전환을 위한 역량을 확보하고, 사업화에 필요한 절차와 노하우를 습득해 창업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며, 시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과 체계적으로 사업을 기획하여 추진하는 역량을 함양하길 기대한다.”며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은 앞으로도 창업 초기 기업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창업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업역량 강화 교육’에 대한 정보는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 공식 블로그(https://blog.naver.com/sku_camta)에서 확인 가능하며, 참여 신청은 10월 5일(수)까지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 e-메일 (camta_info@skuniv.ac.kr) 로 접수하면 된다. 보다 더 자세한 사항은 서경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공지사항 및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 공식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단(02-940-7270)으로 직접 문의할 수도 있다. <관련 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09/29/2022092901588.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5888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929152740298293 베리타스 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0699

    썸네일

    "N번방 방지법, 불법 함정수사·사전검열 변질 우려"

    경찰학연구 수록 논문…"함정수사 금지 규정 필요" 디지털 성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시행 중인 이른바 'N번방 방지법'이 불법 함정수사나 위헌적인 사전검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이준복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는 경찰학연구 제22권 제1호에 실은 '디지털 성범죄 근절을 위한 N번방 방지법의 한계점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개정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청소년성보호법)은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의 경우 신분 위장 수사를 허용하는 특례 규정을 두고 있다. 이 교수는 논문에서 위장 수사의 남용 소지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소년성보호법에 범의를 유발하는 함정수사를 금지하는 규정과 그런 수사를 진행하는 경우 '면책되지 않는다'는 사항까지 함께 명시해야 한다"며 "위장 수사가 불법적인 함정수사로 변질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범의를 가진 자에게 범행 기회를 주거나 범행을 용이하게 하는 '기회 제공형' 함정수사는 적법하지만, '범의 유발형' 수사는 적법절차의 법리에 반해 위법하다"고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수사관이 SNS 등의 이용자에게 무작위로 '성 착취물을 구매하겠다'는 메시지를 먼저 보내 이에 응하는 사람을 수사하면 대법원 판례에 따라 위법이라는 것이다. 이 교수는 경찰이 위장 수사를 하기 위해 검사의 청구를 거쳐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사후승인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검사 측에서 신분 위장 수사를 청구하지 않거나 의견대립이 있어 절차가 지연되는 경우 이를 해결할 장치가 부재하다"며 "긴급한 경우 사후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지난 2020년 12월부터 시행중인 전기통신사업법과 시행령이 '사전검열'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고도 지적했다. 해당 법은 인터넷 사업자에게 불법 음란물을 삭제하고 접속을 차단하도록 책임을 부과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정부는 그간 공개된 공간에서 유통되는 정보를 규제하는 건 사생활 침해나 사적 공간에 대한 검열이 아니라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이 교수는 성 착취물이 유통되는 경로는 실제 SNS과 같은 사적인 대화공간이 맞다고 주장한다. 그는 "평상시에도 불법 촬영물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해야 한다는 조항은 지나치며, 그 조치가 명확하지 않아 정부가 인터넷 사적공간에 대한 검열 및 민간인 사찰 수단으로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했다. 그러면서 "성범죄 관련 언론 기사나 관련 토론, 성범죄자를 명백히 비판하는 글도 삭제요청이 들어오면 전기통신사업자 입장에서는 삭제할 수밖에 없다"며 "이는 과잉 규제이자 전형적인 검열의 행태라는 것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국가 차원의 검열 기술을 조금만 변조하면 향후 정치·종교·사상과 관련된 글도 검열할 수 있기에 헌법상 표현의 자유가 무너지는 것"이라며 "이런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서는 기본권 제한을 수반한 규제 기준을 보편·공평·타당하게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원문기사>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5042900004

    썸네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메이크업디자인학과, 성북구청 지원으로 ‘K-뷰티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 아카데미’ 교육 실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미용예술대학(학장 윤영란 교수) 메이크업디자인학과(학과장 주영주 교수)는 성북구청의 지원으로 ‘2022년 K-뷰티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 아카데미’ 교육을 9월 24일(토) 개강식과 함께 시작했다. ‘2022년 성북구 청년 취업아카데미’ 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이번 ‘2022년 K-뷰티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 아카데미’ 교육은 성북구청의 지원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메이크업디자인학과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K-뷰티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 교육을 통한 관내 청년 취‧창업 경쟁력 확보 및 취업연계 지원을 위해 마련됐다. 교육은 미용기술 강화교육과 취창업 연계형 멘토링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대상은 만 19-39세 성북구 거주 또는 성북구 소재 대학생 청년 30명이며 교육시간은 총 48시간으로 9월 24일부터 11월 13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강사진은 서경대학교 교수진과 미용 산업체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가로 구성되었으며, 학생별 1:1 집중 멘토링을 통해 취·창업 역량을 크게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생들은 교육비 전액을 지원받으며, 수료 후 취업연계 혜택이 주어진다. 교육에 앞서 있은 이날 개강식에는 성북구청에서 곽정숙 일자리 경제과장이, 서경대학교에서 윤영란 미용예술대 학장, 신세영 미용예술대 부학장, 주영주 메이크업디자인학과장 등이 참석했다.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메이크업디자인학과는 K-뷰티를 이끌어갈 전문화된 메이크업 아티스트를 양성하고 있으며, 4년 과정 동안 국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표준화된 교육시스템으로 현장 실무 중심의 전문화된 교육을 하고 있다. 이번 사업의 총괄 책임자인 신세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 부학장은 “이번 아카데미를 통해 메이크업 전문가를 양성하여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취창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북구 지역의 상생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09/28/2022092801427.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5333 한국대학신문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34644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94562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0499 스마트 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672 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160283396225480

    썸네일
    1 146 147 148 149 150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