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700만원" 유혹의 끝은 장기매매? 캄보디아 범죄제국 '프린스 그룹'의 실체
삼합회+지역조폭 결합한 ‘재벌형 범죄조직’
은행·카지노 운영하며 불법 수익 세탁
한 대학생의 안타까운 죽음으로 수면 위에 떠오른 ‘캄보디아 사태’의 배후, ‘프린스 그룹(Prince Group)’의 실체는 상상 이상이었다. 이들은 단순한 범죄 조직을 넘어, 한 국가의 권력과 유착해 은행과 카지노 등 합법적 사업체를 운영하며 아시아 최대 규모로 성장한 기업형 범죄 제국이었다.
국정원 출신인 서경대 군사학과 채성준 교수는 2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프린스 그룹의 정체와 운영 방식을 낱낱이 밝혔다.
삼합회와 조폭의 만남, 범죄 재벌의 탄생
프린스 그룹은 언뜻 대기업 이름처럼 들리지만, 그 뿌리는 중국의 전통 범죄조직에 닿아있다. 채성준 교수는 프린스 그룹을 “중국의 삼합회 같은 고전적인 범죄 조직에 푸젠성 중심의 갱단 ‘복건갱’ 출신 인물들이 합류해 만든 하나의 신흥 범죄 재벌형 조직”이라고 정의했다.
이들은 캄보디아를 거점으로 카지노, 부동산, 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벌이며 30여 개국에 영향력을 미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초국가적 범죄 기업으로 성장했다. 캄보디아 내에만 유사한 범죄 단지가 50여 곳에 달하며, 프린스 그룹은 그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한국과 깊이 연관된 조직 중 하나다.
이들의 주력 사업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로맨스 스캠 등 온라인 금융사기다. 채 교수는 “우리나라 IT 인프라가 굉장히 발달돼 있고, 송금 시스템이나 암호화폐 이용자도 많다”며 “좋은 먹잇감이기 때문에 우리가 그 대상이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월 1700만원’의 유혹, 그 끝은 강제노동과 장기매매
이들 조직은 “한 달 1700만 원 보장”과 같은 허위 고수익 아르바이트 공고로 한국 청년들을 유인한다. 하지만 현지에 도착하는 순간, 여권을 빼앗기고 감금된 채 강제 노동에 시달리게 된다.
채 교수에 따르면,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거나 쓸모가 없어지면 다른 조직에 팔아넘겨지기도 한다. 채 교수는 이 과정에서 끔찍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원래 이 조폭들이 중국에서 넘어간 조폭들인데, 옛날부터 사채 빌려서 갚지 못하면 장기 같은 거 적출해서 팔기도 하던 친구들”이라며, 이들이 언제든 장기매매에 나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까지 운영하며 범죄 수익 세탁…정부의 ‘비호’
프린스 그룹이 벌어들이는 범죄 수익은 연간 수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이 검은돈을 세탁하기 위해 합법과 불법의 경계를 넘나든다. 놀랍게도 이들은 캄보디아 최대 수준의 은행인 ‘프린스 은행’을 합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채 교수는 “불법적으로 벌어들인 돈을 암호화폐에 투입하거나, 합법적으로 운영하는 금융사, 은행, 기업에 넣었다가 빼는 방식으로 교묘하게 세탁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대담한 범죄가 가능한 배경에는 캄보디아 정부와의 깊은 유착 관계가 있다. 채 교수는 “훈센 일가가 캄보디아를 거의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권력의 정점과 유착돼 있다”며 “지역 공무원과 경찰까지 이들의 뒷배가 되어주고 있다”고 밝혔다.
자선사업가의 두 얼굴, 38세 총책 ‘천즈’는 누구인가
이 거대한 범죄 제국을 건설한 인물은 1987년생, 38세의 ‘천즈(Chen Zhi)’다. 중국 푸젠성 출신인 그는 2011년경 캄보디아로 건너가 부동산 사업으로 부를 축적했다.
그는 정부가 원하는 곳에 거액을 기부하고 자선사업을 벌이며 ‘착한 사업가’ 이미지를 쌓았고, 이를 발판으로 훈센 전 총리의 고문직에까지 올랐다.
2014년 캄보디아 시민권을 취득한 뒤에는 소액 대출 기관을 인수해 단 몇 년 만에 31개 지점을 둔 대형 은행으로 키워냈다. 국가로부터 ‘영웅’ 칭호까지 받으며 왕처럼 군림했지만, 현재 그의 행방은 묘연한 상태다.
“뿌리 뽑으려면 테러와의 전쟁 수준으로 나서야”
채 교수는 프린스 그룹과 같은 조직을 소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들을 “국제 테러단체와 같은 수준”에 비유하며, “미국이 9.11 테러 이후에 테러와의 전쟁을 했듯이, 초국가적으로 국제사회가 달라붙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국내 피해자를 구제하는 차원을 넘어, 캄보디아나 미얀마 등 현지의 범죄 근거지를 직접 타격하는 ‘원점 타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정원과 같은 정보기관을 중심으로 한 국제 정보 협력이 절실하다고 채 교수는 덧붙였다.
<원문출처>
로톡뉴스 https://lawtalknews.co.kr/article/OD2IB9X6VBXX
<관련기사>
이투데이 https://www.etoday.co.kr/news/view/2517968
국제뉴스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09080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5102411054519033
폴리뉴스 https://www.pol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1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