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대학교,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기획사업 ‘예비멘토 교육과정’ 통해 인문멘토 발굴 시작


    예비멘토 교육과정에 참여할 15명의 예비멘토 선착순 모집 완료

    사업 이해도 증진 및 인문학적 소양 함양을 통한 멘토풀 구축

    서경대학교,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기획사업, ‘예비멘토 교육과정’ 통해 인문멘토 발굴 시작(1).jpg

    서경대학교,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기획사업, ‘예비멘토 교육과정’ 통해 인문멘토 발굴 시작(2).jpg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지역 예비멘토 교육과정에 참여할 총 15명의 예비멘토를 선착순으로 모집하였으며, 21일 진행된 1회차 교육을 시작으로 10월 셋째 주부터 11월 둘째 주까지 운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예비멘토 교육과정인생나눔교실에 진입하기 전, 사업에 관심이 있는 잠재적 참여자를 발굴하여 인생나눔교실사업소개와 선배멘토의 사례공유를 통해 사업 이해도를 높이고 인문적 소양을 갖춘 멘토풀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이번 교육과정은 총 4회차로 진행되며, 1회차는 () : 인생 2막의 설계라는 주제로, ‘예비멘토 교육과정소개와 서울예술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하신 전창운 교수님의 예비멘토를 위한 특강을 통해 참된 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으로 기획되었다. 2회차는 () : 인생나눔교실 사업소개라는 주제로, ‘인생나눔교실속에서 멘토의 선한 영향력은 무엇인지 함께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3회차는 () : 선배 멘토의 인생나눔교실 이야기라는 주제로, ‘인생나눔교실을 졸업한 멘토가 참여하여 지역사회 어른으로서의 아름다운 삶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눌 예정이다. 마지막 4회차는 노마지도(老馬地道) : 인문멘토링 구성 및 수료식의 주제로, 내가 멘티와 나누고 싶은 인생 이야기와 나만의 인문멘토링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이후 수료식을 끝으로 예비멘토 교육과정이 모두 마무리될 예정이다.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김민하 교수(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4차 산업혁명이 화두가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인문학적 가치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예비멘토 교육과정’을 통해 발굴된 인문멘토가 사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멘티들과 원활하게 소통하였을 때 발현되는 인문학적 가치는 더욱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2년 인생나눔교실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와 전국 5개 권역(수도권, 강원권 등)이 주관하는 사업이다. 특히,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는 5년째 수도권역을 담당하며 ‘예비멘토 교육과정’ 이외에도 인문가치 확산과 아카이빙을 위한 ‘NEAR’ 사례집 제작, 사업 가이드를 위한 ‘인생극장’ 영상 제작, 졸업멘토의 지속성 있는 인문활동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우리동네 인생나눔교실’과 ‘··(우리 멘토를 소개합니다)’ 등 다양한 기획사업을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10/24/2022102401674.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1724
    대학저널 https://dhnews.co.kr/news/view/1065588833416634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3414

    메트로신문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21024500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