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대학단체들 "학생 배제한 인권센터, 개혁 절실"…공동행동 나서


    학교별 대응 넘어 첫 공동성명인권센터, 본부·교수로부터 독립해야

    인권센터.jpeg

    또 다시 시작된 대학 미투…흔들리는 상아탑(CG)

    대학 내 인권센터가 학생의 참여를 배제한 채 운영되고 있어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학가에서 높아지고 있다.

     

    올해 초부터 사회에 번진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이 대학가에도 큰 반향을 일으켰지만 대학 내 인권센터는 학생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채 미투 사건에 미온하게 대응한다는 게 학생단체들이 내놓는 지적이다.

     

    각 대학별로 인권센터 개혁을 촉구하던 움직임은 공동행동으로 결집됐다.

     

    3일 각 대학에 따르면 동국대, 명지대, 서경대, 서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세종대, 인천대, 인하대, 이화여대 등의 학생단체들은 이달 1일 공동성명을 내고 학내 인권센터의 독립과 개혁을 요구했다.

     

    이들 학생단체는 성명에서 각 대학에서는 미투 생존자들의 용기 있는 폭로가 이어졌다학생들은 피해자 치유와 복귀, 성폭력적 문화에 대한 공동체의 반성이 이뤄지지 않는 대학 질서에 저항하며 가해 교수의 파면과 재발방지책 마련 등을 요구했지만, 이를 실질적으로 이행한 대학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학교 구성원들의 목소리가 민주적으로 반영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또다시 폭력의 위험에 놓일 수 밖에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학생단체들은 정직 3개월에 그치는 솜방망이징계와 학교 구성원을 배제한 채 진행한 폐쇄적인 해결 과정은 성폭력이 발생한 권력 작동 방식과 같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 단체는 인권센터는 이름만 인권을 내세울 게 아니라 학교 본부와 교수 권력으로부터 독립해야 한다우리가 운동으로 바꾸고자 하는 대학은 배제된 구성원들의 의사가 반영된 대학, 성차별 성폭력 문화가 근본부터 뿌리째 뽑히는 대학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학생 주도의 인권센터 개혁을 통해 모든 구성원의 의견이 반영된 민주적 인권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윤원정 동국대 총여학생회 무빙회장은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향후 토론회와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서도 인권센터 개혁을 촉구하는 등 공동행동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인권센터는 소수자의 인권을 보장할 방법을 강구하고, 학생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특히 특정 집단을 옹호할 것이 아니라 민주적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인권센터2.jpg

    < 원문 출처 >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02/0200000000AKR20181002156800004.HTML?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