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 칼럼]시진핑, 옛 구절로 경제를 말하다


    경제와 정치가 정확히 갈라지는 지점을 찾을 수 있을까?

    아마도 불가능할 듯싶다. 경제와 정치는 동전의 앞 뒷면 정도가 아니라 마치 꽈배기처럼 한 몸으로 엉켜 맞물려 돌아가는 생물(生物)’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경제를 알면 정치가 보이고, 정치를 알면 경제가 보이며, 둘 모두를 꿰뚫어 볼 수 있으면 국가 전체를 볼 수 있다는 말도 가능하지 않을까?

    이를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가 시진핑
    (习近平) 중국 국가 주석 겸 중국 공산당 총서기의 고문(古文) 화법이다.2018년
    4
    10일 중국 남단 하이난다오(海南岛)성 보아오(博鳌)에서 열린
    『보아오아시아논단
    2018』 개막식에서
    선보였다
    . 그 하나 하나에 담긴 경제 철리(哲理)를 탐사해 보자.

     

    선현께서 말씀하시길
    천도수근
    (天道酬勤)이며 춘화추실(春華秋實)이라 했다. 중국 인민은 온 정신을 모아 건설에 나서야 하고, 개혁·개방을
    견실하게 지켜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
    이를 항구토록 유지하고 가슴에 새겨 잊지 않는다면 중국은 천지 개변하는 변화를 맞게 될 것이다.”  

    보아오아시아논단 2018.jpg

    [출처:셔터스톡]

    천도수근은 서경(書經) 대고(大誥)편에 보인다.

    하늘은 인간에게 은밀하게 성공의 길을 보이셨으니 이는 오로지 근면함으로만 보람을 얻을
    것이라는
    점이라(天閟毖我成功,天亦惟用勤毖我民)’. 춘화추실의 ()’는 꽃()
    통한다. 곧 봄에는 꽃이 피고, 가을에는 결실을 맺는다(春天开花,秋天结实)는 뜻이다

    두 구절은 결국 같은 의미다. 땀 흘려 밭을 갈고 적시에 파종하면 풍성한 수확이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부지런한 국민이 부국을 이룬다는
    경구다.

    중국 학계는
    불로소득에 대한 과징을 확실하게 하고, 성실한 납세자와 유리지갑근로자에 대한 혜택은 과감하게 늘리겠다는 시 주석의 뜻이 담긴 문구라고 해석했다.

    시진핑, 경제1.jpg

    [출처:중국사회과학보]

    천행유상(天行有常)이요 응지이치즉길(應之以治即吉)이라 했다. 중국은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발전하고 ^개혁하며 ^조화롭고 풍요로운 사회를 창조하라는 중국
    인민의 요구에 순응했다
    .
    이는
    ^
    발전하고
    ^
    협력하며
    ^
    평화를 유지하라는 세계 인민의 뜻에도 부합하는 길이다 

     

    순자(荀子) 천론(天論)에 나오는 말이다.

    천지의
    운행에는 변치 않는 규칙이 있다
    . () 임금 같은 성군을 위해서도 이는 바뀌지 않으며, () 임금 같은 폭군이 짓누른다 한들 역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규칙에 순응해 다스리는 자는 길할 것이요, 이를 거스르면 흉할 것이다(天行有常,不为尧存,不为桀亡.应之以治则吉,应之以乱则凶)’

    중국 정치 평론가들은 국가 주석의 연임 제한 규정을 폐하고, 정치 및 경제 제도를 개혁하는 것은 천지의 조화로운 운행에 부합하는., 즉 천도에 맞는 일을 실천하는 것이지 결코 인민의 뜻을
    거스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는 구절
    이라고
    지적했다
    . 앞으로 시 주석의 정치 개혁은
    거침없이
    , 당당하게 진행될 것임을 보여주는 구절이라는
    얘기다
    .

     

    우리
    선인들은
    2500여 년 전에 이미 백성에게 이롭다면 굳이 옛 법에 집착할 필요가 없고, 일 하기에 적절하다면 습속에 매일 필요가 없다(苟利于民,不必法古;苟周于事,不必循俗)는 사실을 깨달았다

     

    회남자(淮南子)
    론훈(氾論訓)에 보인다. 인민에게 이롭다고 판단되면 남들이 뭐라 하건, 옛 제도가 무엇이든, 좌고우면(左顧右眄) 하지 않고 직진하겠다는 각오다.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중국 특색의 자본주의를 밀고 나가겠다는 얘기다. 세계 경제 주도권을 놓고 미국과의 일전(一戰)이 필요하다면 그것도 불사하겠다는 각오를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는 게 중국 학계의 해석이다

    시진핑,경제2.jpg 

    [출처:신화통신]

    흙이 모여야 산이 되고 물이 합쳐져야 바다가 된다(积土而为山,积水而为海). 행복과 아름다운 미래는 저절로 오지 않는다. 성공은 용감하고 의지가
    굳건하며
    ,
    독행(篤行)하는 자의 몫이다

     

    순자 유효(儒效)편의
    구절이다
    .  

    진흙도 쌓이면 높은 산이 되고, 시냇물도 모이면 바다가 된다. 흙이 모여 산이 돼야 바람과 비가 일어나고, 물이 모여 연못이 돼야 교룡(蛟龍)이 깃든다
    얘기다
    . 이는 얼핏 보면 티끌 모아 태산(聚沙成塔)’의 정신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정치 평론가들은 이 말에서는 바람과
    그리고 교룡을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세계 외교와 경제무대에서 중국이 바람과 비를 일으키며 교룡이 용이 되어 승천하겠다는 꿈을 담고 있다는 설명이다
    . 한마디로 시진핑의 집권 목표인 『중국의 꿈(中国梦)』을 이루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는 해석이다

     

    글=진세근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겸임교수
    정리=차이나랩 정용환

    <원문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