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전체공지

Notice

서경대학교 공지사항입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분석과 확산 대비 안내[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 본부에서는델타 변이, 인플루엔자와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을 비교,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 중증예방 중심의 지속가능한 방역체계로 전환한다고 합니다. 이에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학생 및 교직원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미크론 변이 발생 현황 및 특성

     

    국내발생 분석결과 오미크론 변이 13주 검출률 50.3%로 우세종화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 높으나 중증도 낮음, 인플루엔자보다 전파력 높고 중증도 다소 높음

    예방접종 및 먹는 치료제는 오미크론 변이에도 여전히 효과적인 수단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 영향과 대응

     

    개인 중증도는 낮더라도, ‘사회 피해 규모는 클 수 있음

    고위험군 중증예방을 위한 조기진단·조기투약, 일반 국민은 동네 ·의원에서 적시에 진료·검사

    설 연휴에 앞서, 신속한 예방접종 완료와 개인방역수칙 준수 및 올바른 마스크 착용 당부

     

     

    [국외 오미크론 변이 위험도 평가 결과 참고]

    WHO(1.7)는 오미크론이 델타에 비해서 중증도는 낮지만 발생이 급증하여 의료체계에 부담을 줄 수 있기에 위험도는매우높다고 평가

    ECDC(1.14) 오미크론 확산과 의료체계 부담의 우려에 따라 위험도를 매우높음으로 평가하며 백신접종이 대응에 핵심이라고 강조

     

    < PCR 우선순위 대상자() >

    구분

    내 용

    확인방법

    60세 이상

    감염 시 위중증 우려가 높은 고령층

    신분증

    역학적 연관자

    보건소에서 밀접접촉 등의 이유로 PCR검사를
    요청받은 자

    PCR검사 요청 안내 문자

    의사소견자

    진료 과정에서 의사가 코로나19 검사가 필요하다고 소견서를 작성해 준 환자

    의사소견서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대상

    감염취약시설 종사자

    재직 관련 증명서류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의원(호흡기클리닉 등)및 선별진료소 신속항원검사, 자가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자

    양성결과가 나온 검사키트

    < 확진자, 접촉자 격리기준 >

    구분

    예방접종 접종완료자

    (3차 접종후 14일 경과 또는

    2차 접종 후 90일 이하자)

    미접종 및 그 외 예방접종자

    확진자

    무증상

    7일 격리

    * 해당기간 동안 무증상 유지

    10일 격리

    유증상

    7일 격리

    * 발열없고, 임상증상 호전

    10일 격리

    밀접접촉자

    수동감시

    (6~7일차 PCR 검사)

    7일 격리

    (6~7일차 PCR 검사)

    새로운 생활 속 방역수칙

    1

    미접종자는 기본접종하기, 2차 접종 유효기간 만료 전 3차접종하기

    2

    올바른 마스크 착용으로 입과 코 가리기, 특히 감염위험시설(3밀 환경), 감염취약시설(요양시설)에서는 반드시 보건용마스크 착용하기

    3

    30초 비누로 손 씻기, 기침은 옷소매에

    4

    13회 이상·회당 10분 이상 환기하고,

    손이 많이 닿는 곳(가정 내 문고리, 스위치, 전화기)11회 이상 소독하기

    5

    사적 모임의 규모와 시간은 최소화하기

    6

    아프면 검사 받고, 집에 머물며 고위험군(6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을 만나지 말기


    <상황별 권고 마스크>



    상황

    보건용 마스크

    수술용 마스크

    비말차단용 마스크

    KF 94

    KF 80

    의료

    관련

    상황

    ·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경우

    필수

    ·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 건강취약계층, 기저질환자*

    (우선) 권장

    사용 가능

    생활

    방역

    상황

    · 3밀시설(밀집·밀점·밀폐) 또는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 등) 방문

    (우선) 권장

    사용 가능

    · 타인 접촉이 잦은 직업군

    · 실내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 실외에서 2m(최소1m) 거리 유지가 어려운 경우

    권장

    <의학적 사유에 의한 방역패스 적용 예외 확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으로접종금기·연기통보받은 경우

    * 아나필락시스, TTS, 모세혈관누출증, 심근염·심낭염

     

    코로나19 백신 구성물질에중증 알레르기 발생이력이 있는 접종금기자(진단서)

     

    면역결핍, 면역억제제·항암제 투여접종연기가 필요한 경우(소견서·진단서)

    +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이상반응으로 4-1(인과성 근거 불충분)판정받은 경우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접종 후 6주 이내입원치료를 받은 경우(입원확인서 및 진단서)

     * 심혈관질환, 당뇨, 만성 폐질환, , 뇌혈관질환, 면역저하, 비만, 천식

    붙임:1. [보도자료]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분석과 확산 대비1

         2. 코로나19 관련 홍보자료 311.


                               출처: 질병관리청

                   서경대학교 일상회복지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