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특별기획] '단종의 유배지'에서 '충절과 문화가 숨쉬는 여유의 공간'으로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GKS사업단 영월 탐방기

    지난 19~20일 양일간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과 서경대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이하 GKS(Global Korea Scholarship):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 주관 사업), 서경대 GKS사업단(단장 박정아 교수)이 강원도 영월군을 찾았다.

    영월은 조선 제6대 임금 단종의 묘인 장릉, 계유정난 이후 단종이 유배된 청령포 등과 더불어 사육신과 생육신, 그리고 충신들을 모시고 학업을 다졌던 창절서원과 오늘날의 국립대학격인 영월향교 등 다양한 역사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이다.

    또한 국내 최초의 공립 사진 박물관으로 국내외 유명 사진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동강사진박물관과 자연과 예술 작품, 그리고 관람객이 하나가 되어 인생샷을 남기며 미술의 재미에 푹 빠질 수 있는 영월 젊은달 와이파크를 비롯해 김삿갓문학관, 라디오스타박물관 등 문화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곳들이 많다. 조용하지만 역사와 문화, 그리고 옥수수와 어수리나물의 향긋하고 달콤한 맛까지 즐길 수 있는, 그야말로 있을 것은 다 있는곳이 강원도 영월이다.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은 문화현장 탐방, 사회공헌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등 다양한 활동을 청년이 주도적으로 실행하면서 청년들이 스스로 자신을 발전시키고 미래를 주도할 수 있는 디딤돌을 놓은 역할을 13년 동안 진행하고 있다. 이번 문화탐방은 청년들, 그리고 한국을 배우고 있는 유학생들이 한국의 전통 교육기관인 향교와 서원의 역할과 중요성, 단종 임금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릉과 귀촌 마을로 새롭게 도약하고 있는 삼돌이마을의 성공사례를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내외방송은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GKS사업단과 함께 이번 문화탐방에 참여해 영월의 역사와 변화를 함께 체험했다. 본지는 그 체험의 현장을 4회에 걸쳐 독자들에게 전하려 한다.

    이번 탐방은 영월향교가 주최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성균관유교문화활성화사업단이 후원했고 동부건설()이 협찬을 했다.

    주말마다 장릉에는 흥겨운 음악과 애절한 노래가 들린다. 바로 창작뮤지컬 <장릉 낮도깨비 -1457, 잠든 소년>이 공연되기 때문이다. 이 공연은 지난 2023년 초연된 후 관람객들의 큰 사랑을 받으면서 영월을 대표하는 창작뮤지컬로 성장했다. 다른 배경 없이 장릉의 잔디밭에서 진행된다는 것, 여기에 장흥을 찾은 관람객은 무료로 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주말마다 좌석이 꽉 찰 정도로 유명해졌다. 지역에서도, 작은 극단에서도 얼마든지 전국적인 인기를 얻을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걸 보여준 것이다.

    이 작품은 장릉에 잠들어 있는 단종 임금의 애틋한 사랑과 슬픈 운명을 다루면서 중간중간 영월 지역 설화에 등장하는 능말 도깨비가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한다. 도깨비들은 단종의 비극을 보며 같이 울고 웃으면서 인간들의 부조리한 모습을 비판하기도 한다. 공연에 나오는 뮤지컬 넘버는 대극장 뮤지컬 못지않은 퀄리티를 자랑한다. 1시간에 불과한 공연이지만 그냥 앉아서 보기에는 너무나 미안할 정도로 깊이가 있다. 이런 공연을 자주자주 볼 수 있다는 것도 큰 행운이라는 생각이 든다.

    애닯은 하소연을 하늘은 어찌 듣지 못하고 어쩌다 수심 깊은 나의 귀만 홀로 밝은고‘(자규가)라고 슬픔을 표현했던 단종. 작품은 그 단종에게 이렇게 마지막 인사를 전한다. ‘슬픈 생에도 사랑 있었으니 그대 덕에 당신 덕에 생이 아름다웠다오 죽음이 덜 외로웠다오 다시 만나길 다시 사랑하길 영원히 영월에서‘. 비록 비명 속에 세상을 떠나야했지만 영월에서 다시 사랑하길 꿈꾸는 희망이 단종을 위로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알게 된 소식. 이 작품이 올해 영국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 초대되어 영국에서 공연을 한다고 한다. 영월에서 시작된 작은 뮤지컬이 이제 세계로 발돋움하게 되는 중요한 시기를 맞은 것이다. 슬프지만 재미있는 단종과 낮도깨비의 이야기가 세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지 주목된다. 기획단이 장릉에서 홍보 영상에 참여했다는 것도 참고로 밝힌다.

    어느새 점심 때가 됐고 참가자들은 단종의 밥상을 맛보게 되었다. 단종이 영월에서 먹었다는 어수리나물이 그것이다. 영월에 유배된 단종이 처음 어수리나물을 맛본 순간, 단종은 부인 정순왕후의 분향이 난다고 말했다 한다. 그렇게 어수리나물은 특유의 향과 맛 때문에 임금님 수라상에 진상되기도 했고 지금도 영월의 대표 음식으로 사랑받고 있다.

    <동의보감>에서 어수리는 피를 맑게 하는 식물로 소개하고 있다. 어린 잎에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등이 풍부하고 당뇨와 비만, 심장질환 등의 에방과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 뿌리는 중풍과 각종 통증을 치료하는 약재로 쓰인다고 한다. 그 어수리나물이 들어간 밥과 각종 나물 반찬, 여기에 구수한 나물된장국이 어우러지니 저절로 몸이 가벼워지는 느낌이 든다. 마음이 건강해지니 몸도 깨어나는 느낌이다.

    단종의 밥상으로 점심을 마치고 이제 참가자들은 이번 탐방의 종착지인 창절서원으로 향했다. 창절서원은 본래 충신들의 위패를 모셨던 창절사에서 시작되어 충신들을 추모하고 지역민을 가르치기 위해 창건된 교육기관이다. 출입문인 배견루에 들어가면 학생들을 가르친 창절서원이 나오며 서원 뒤에 창절사가 있다.

    창절사에는 단종의 복위를 위해 목숨을 바쳐 충절을 지킨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과 역시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순절한 박심문, 단종 폐위 뒤 벼슬을 버리고 초야에 묻혀 살며 충절을 보여준 생육신 김시습, 남효온, 그리고 단종의 시신을 수습하고 장사를 지낸 영월호장 엄흥도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1864년 흥선대원군의 사원 철폐령에도 불구하고 창절서원은 철폐되지 않고 보존되었으며 지금도 매년 109일 대제를 지내고 있다.

    창절서원에 들어서는 순간 해가 쨍쨍해지면서 조금씩 더위가 느껴지기 시작했다. 전날과는 확연히 다른 날씨다. 서원에 대한 설명을 들은 참가자들은 서원 주위를 돌기 시작했다. 강학이 이루어진 서원 공간을 보고 서원에 모셔진 충신들의 위패를 보며 마음을 다잡았다.

    이 곳의 위패에는 忠文 成先生 神位(충문 성선생 신위)’, ‘忠正 朴先生 神位(충정 박선생 신위)’ 등으로 모신 분들의 이름이 숨겨져 있었다. 그리고 서원의 동재와 서재에는 이 곳에 모셔진 충신들이 남긴 말들이 적혀 있었다. 혹독한 현실에 맞서 마지막까지 충절을 지키려는 이들의 마음이 한 글자 한 글자에 아롱아롱 새겨진 느낌을 갖게 한다.

    이렇게 이틀간의 영월 탐방은 마무리가 되었다. 물론 영월의 깊은 정취를 느끼기에는 너무나 부족한 시간이라고 생각될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시간 동안 참가자들은 예를 느꼈고, 나라를 향한 충()을 느꼈고, 새롭게 변화하는 문화를 느꼈고, 시골 마을의 여유로움을 느꼈다. 영월은 그렇게 단종의 유배지가 아닌 충절과 문화가 숨쉬는 여유의 공간으로 변모하며 우리를 부르고 있었다. 영월에서 얻은 여유가 앞으로 치열해질 삶의 자양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안고 서울로 향한다

    <원문출처>

    NWN내외방송 http://www.nw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3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