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NOTICE

    서경대학교에서 전하는
    주요 정보를 확인하세요.

    공지사항

    [대학혁신] 2025학년도 S-Learning Clinic 2학기 학습컨설팅 안내

    [대학혁신] 2025학년도 S-Learning Clinic 2학기 <Learning-Up> 학습컨설팅 안내 교수학습원에서는 학부생의 효과적인 학습 지원을 위해 1:1 학습 컨설팅 또는 집단 컨설팅을 진행하오니 학생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다 음 - 1. 대 상 : 우리대학 학부 재학생 2. 상담내용 : 효과적인 공부 방법, 자기주도 학습, 대학 생활 적응 등 3. 운영기간 : 2025. 11. 03. (월) ~ 상시 접수 4. 신청방법 : 서경대학교 포탈 통합상담 https://sportal.skuniv.ac.kr/medici/CounselApplication 5. 진행순서 : 컨설팅신청 → 학습전략검사시행 → 맞춤형 1:1 학습컨설팅 또는 집단컨설팅 (학생의 요구에 의한 컨설팅 유형 설정) 6. 관련문의 :02-940-7103 2025. 11. 03. 교 수 학 습 원 장

    2025학년도 2학기 면학B형 장학금 신청

    2025학년도 2학기 면학B형 장학금 신청 1. 지원자격 : 우리대학의 재학생(정규 8학기이내)으로 경제적 사정이 곤란한 자 ※ 면학장학금은 국가장학금 신청 후 소득구간이 확인되어야 심사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장학금을 신청하지 않았거나, 신청하였으나 서류를 완료하지 않아 소득구간이 확인되지 않는 학생의 경우에는 면학장학금을 수혜할 수 없습니다.  ○ 면학B형 장학금 : 국가장학금 신청자로 소득구간 기초수급∼9구간 2. 신청기준  ◇ 2025년도 2학기 국가장학금 신청 후 소득구간 확인자  ◇ 성적기준 -  직전학기 이수학점 12학점이상                      - 소득구간 기초수급, 차상위 - 직전학기 평점 1.6 이상,                     - 소득구간 1~9구간 - 직전학기 평점 2.0이상 3. 장학금액 - 면학B형 :  장학대상자 선정 후 금액 배정 - 등록금 내 장학금 지급 가능합니다.  4. 신청기간 -   11. 17(월) ∼ 12. 08(월) 23:59까지 (신청마감시간 이후에는 접수하지 않으니 반드시 기한내 접수) 5. 신청방법(신청은 서경포털 이용) - 서경포털 ⇒ 장학관리 ⇒ 장학신청 ⇒ 장학금 종류 체크 ⇒ 계좌등록 ⇒ 장학신청 ※ 본인명의 계좌를 등록해야 신청기능 활성화 됨 ※ 신청후 하단의 내역조회에 내역이 존재하는지 필히 확인요망, 신청확인문자 발송 ※ 기타 장학금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청운관 3층 장학과(940-7085, 7641)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인문100년 및 예술체육비전장학금 일시지원유형(1학기 지원) 선발 안내

    2025년 인문100년 및 예술체육비전장학금 일시지원유형(1학기 지원) 선발안내 □ 신청자격 및 기준  - 인문100년및예술체육비전장학생으로 선발된 이력이 없는 인문사회계열 및 예체능계열 학과(부)에 재학중인 3~4학년으로 자체선발기준에 의거하여 선발     ※ 선발기준(붙임문서)을 참조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성적기준: 직전 정규학기 성적 백분위 90점(평점3.5/이상) 이상, 최소 12학점 이상 이수  - 취득이수학점 : 졸업학점 기준 40% 이상 이수  - 학업계획서를 필히 작성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학생 신청 기간: 공지시점 ~ 11. 17(월) 23:59까지  □ 신청방법 :  scholarship@skuniv.ac.kr(장학과 메일로 신청)   ※ 신청시 제목을 "인문100년 or 예술체육비전, 학과, 학년, 학번, 이름" 을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선발제외대상 : 1) 해당사업의 장학생으로 선발된 이력이 있는자 혹은 영구탈락자  2) 2025년도 2학기 현재 휴학생(학사징계자 포함) 3) 교육계열 중 초등교육의 수학·과학·컴퓨터 등 이공계 분야 교육 학과(부),  중등교육의자연과학·공학계열교육 학과(부)는 지원 대상 4) 동일학기에 한국장학재단에서 운영 중인 타 장학금 장학생 자격 유지자 5) 계약학과(등록금 전액지원/일부지원) 재학생은 해당 법령 등에 따라 등록금 전액을 지원받는 교육지원대상자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북한이탈주민 등)는 선발 제외(등록금 일부를 지원받는 경우 선발 가능하며 등록금 학생부담분에 한해 지원)  6) 등록금성장학금 전액 수혜자 제외   ※기타 자세한 사항은 장학과(940-708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정책 체감도 및 만족도 조사(11.3 ~ 11.16.)

    조사 URL : https://unijob.kr/s1/s3.asp?ACCESS_KEY=M3X7B&UNIID=U070 조사는 10분 이내로 소요되며, 조사에 참여해 주시는 분들께는 감사의 뜻으로 추첨을 통해 경품을 제공하고 있사오니 많은 참여 부탁 드립니다. * 조사 기간 중 목표표본이 모두 수집되면 참여가 불가할 수 있음 2025.10.31. 진 로 취 업 처 장

    [정보전산원] 리뉴얼 메인 홈페이지 오픈 안내

    우리 대학교의 메인 홈페이지(http://www.skuniv.ac.kr)를 마이그레이션 및 리뉴얼하여 아래와 같이 새롭게 오픈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홈페이지는 사용자 중심의 직관적 홈페이지 구축을 통한 정보 접근성 향상과 관리 효율성 극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하여 현대적이고 세련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습니다.리뉴얼 홈페이지에 대한 많은 이용과 관심을 부탁드리며,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 아래 ------- 1. 오픈일시: 2025. 11. 03(월) 18:00 2. 주소(URL): 기존과 동일(http://www.skuniv.ac.kr) 3. 주요내용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쉽고 빠르게 접근 가능하도록 구현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일관된 반응형 웹 디자인 적용 및 세련되고 역동적인 UI/UX 구현 - 기존 홈페이지의 게시판 및 첨부파일 데이터의 안정적 마이그레이션 완료 ※ 시스템 배포 및 안정화 과정을 거쳤으나, 접속 환경에 따라 일시적으로 서비스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학생 사례영상 경진대회 개최 안내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학생 사례영상 경진대회 개최 안내 대학혁신지원사업 총괄협의회는 대학혁신지원사업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독려 및 사업 홍보를 위해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학생 사례영상 경진대회」를 개최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공모 개요 가. 공모명 :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학생 사례영상 경진대회 나. 모집대상 :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수혜를 받은 재학생 2. 접수 안내 가. 접수 기간 : 2025. 11. 3.(월) ~ 2025. 12. 19.(금) 나. 접수 방법 : 참가서류 및 동영상 파일 이메일(uispc0624@gmail.com)로 접수 ※ 제출 동영상은 본인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 후, URL주소 이메일에 표기 제출 다. 제출 자료 1) 파일명 및 이메일 제목은 ‘UI 학생사례 영상 공모_참가자(팀)명’으로 제출 2)제출 자료는 연번 순서대로1장씩 스캔하여1개의PDF파일로 제출함(동영상은 별도 첨부) 연번 제출서류 비고 1 공모신청서 1부 서명 필수(대표 작성) 2 개인정보제공 및 수집·이용 동의서 1부 동의 및 서명 필수 (구성원 모두 작성) 3 서약서 1부 서명 필수(대표 작성) 4 재학증명서 1부 발행일: 2025년 9월 이후 (구성원 모두 제출) 5 영상파일 이메일 첨부파일로 발송 (URL주소 표기) ※ 2차 심사 통과 대상자의 경우 추가 제출서류 별도공지 예정 라. 출품 규격 1) 파일 규격 : 최소 HD(1280*720)픽셀, Full HD(1920*1080) 이상 권장 2) 파일 형식 : MP4, AVI, WMV, MOV 등 동영상 파일 3) 작품 분량 : 10분 이내 3. 심사 및 시상 가.심사 기준 구분 기간 평가항목 배점 심사기준 1차 심사 2025. 12. 22.(월) ~ 2025. 12. 24.(수) 서류심사 - 신청양식 및 영상에 대한 검토 2차 심사 2025. 12. 26.(금) ~ 2026. 1. 8.(목) 주제 적합성 30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사례에 얼마나 적합한가? 기획성 30 참여 사업을 얼마나 잘 소개하고 있는가? 주제를 표현하는 방법이 적절한가? 완성도 20 제작 영상의 완성도 수준이 높은가? 창의성 20 창의적인 구성으로 영상을 제작하였는가? 최종 심사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포럼 (2026년 1월 말 예정) 현장심사 100 2차 심사 평가항목에 따른 심사 ※ 동점일 경우 배점이 큰 기준(위 제시 순)으로 선정 나. 시상금액 구분 시상금 선발인원 팀 개인 대상 300만원 100만원 1명(팀) 최우수상 100만원 70만원 1명(팀) 우수상 50만원 40만원 2명(팀) 장려상 30만원 20만원 4명(팀) ※ 시상금은 장학금으로 상격 및 참가형태에 따라 지급※팀/개인 통합 심사 및 선발 진행 예정 4. 문의사항 : 지원 서류 및 상세 지원방법, 유의사항은 총괄협의회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조 TEL) 055-320-3216 E-mail)uispc0624@gmail.com Web) http://uispc.org 붙 임 : 1. 2025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학생 사례영상 경진대회 공고문 1부. 2.공모신청서1부. 3.공모신청서(예시) 1부. 4.경진대회 포스터1부.끝. 2025. 10. 30. 대학혁신추진사업단장

    서경 TODAY

    우리 대학의 매일 새로운 이야기와 빛나는 성과를 전해드립니다.

    today thumbnail
    "전 세계 여성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누고 협력하는 기반 되길 희망한다"

    세계 14개국 공무원 및 전문가, 서경대 위탁기관 서울시 북부여성발전센터 방문 세계 14개국의 여성, 노동, 고용 관련 부처 공무원 및 민간 전문가들이 11일 오전 서경대학교 위탁기관인 서울시 북부여성발전센터(센터장 방미영)를 방문했다. 이날 센터를 방문한 이들은 성평등가족부 초청연수 사업 '2025년 여성 역량강화 정책 관계자 초청 연수' 참여자로 부탄, 에콰도르, 이집트, 피지, 가나, 온두라스, 인도네시아, 라오스, 요르단, 몰도바, 네팔, 파나마, 세르비아, 우간다, 예멘 등 14개국의 여성직업능력개발 정책 수립 및 실행력을 갖춘 여성, 노동, 고용 관련 부처 공무원 및 민간 전문가 2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서울시 북부여성발전센터를 방문해 여성 교육, 취업 및 창업 지원 프로그램 설명을 들은 뒤 관련 현장을 견학하며 한국의 여성직업능력개발 관련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방미영 센터장은 인사말을 통해 "서울시 북부여성발전센터는 여성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해왔다"고 센터를 소개하면서 "이 자리가 전 세계 여성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누고 상호 협력의 기반을 다지는 뜻깊은 계기가 되기를 희망하고, 서울에서의 시간이 유익하고 뜻깊은 시간으로 남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초청국가 대표로 답사를 한 세르비아의 드라고미르 크네세비치 가족복지인구부 국제협력부 선임자문관은 "한국을 방문하면서 여성 능력 개발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했고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오늘 센터 방문을 통해 여성의 역량 강화와 여성 취창업의 성취를 듣고 싶고 한국에서 어떻게 평등을 구현하고 동등한 기회를 주었는지를 듣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시북부여성발전센터는 그동안의 활동 상황과 지원 프로그램 등을 상세히 설명했고 참석자들은 진지하게 설명을 들으며 나름대로의 정책 모델을 설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질의응답 시간에는 프로그램의 성취도, 취창업 정책 등 다양한 내용의 질문들이 나왔고 여러 참가자들이 각자 관심사에 대한 질문을 하면서 예정 시간을 훨씬 넘길 정도로 열의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에 방미영 센터장은 "여러분들과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교류하는 센터가 되도록 하겠다"는 말을 전했다. 연수생들은 오는 13일까지 한국에서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원문출처> NWN 내외방송 http://www.nw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3278

    today thumbnail
    서경대학교 지역사회협업센터, 정릉1동과 함께 ‘2025 제4회 성북구 주민자치 성과공유회’ 참여

      아나바다 장터와 숲속 영화제로 이어진 서경대-정릉 상생 프로젝트 소개 정릉1동 ‘자치대상’ 수상 영예   서경대학교 지역사회협업센터(센터장 노은영 교수)는 10월 30일(목), 정릉1동 주민자치회와 함께 ‘2025 제4회 성북구 주민자치 성과공유회’에 참여해 지역 상생의 성과를 공유했다. 이번 공유회에서 정릉1동은 ‘함께 그린(GREEN) 정릉동의 시간들 - 나눔과 환경 문화로 이어지는 정릉-서경대 상생 프로젝트’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는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 김유림 학생과 정릉1동 주민센터 김정율 분과장이 함께 맡아, 지역주민과 대학생이 함께 만들어온 탄소중립 문화축제의 과정과 의미를 소개했다. 서경대-정릉 상생 프로젝트는 지역 내 자원 순환과 환경 보호를 실천하기 위한 공동 활동으로, ‘아나바다 장터’와 ‘숲속 영화제’를 통해 지역과 대학 간의 지속 가능한 교류를 진행했다. 특히 정릉1동은 이번 성과공유회에서 지역과 대학의 협력 모델로서의 역할과 가치를 높이 평가받아 ‘자치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행사장 광장 부스에서는 서경대학교 무대패션전공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업사이클링 제품(스크런치, 키링, 미니가방 등)을 선보였으며, 에코백 꾸미기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방문객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이번 행사에서 서경대학교 지역사회협업센터는 주제 발표와 부스 운영을 지원하며, 대학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상생의 지역협력 모델 구축에 기여했다. 노은영 서경대 지역사회협업센터장은 “학생들이 지역 속에서 배움과 실천을 함께 경험함으로써 대학의 사회적 역할이 더욱 확장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릉1동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공존과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5/11/03/2025110302173.html 신아일보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8878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48694 대학저널 https://dhnews.co.kr/news/view/1065580603699752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1103_0003387626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79944 E동아 https://edu.donga.com/news/articleView.html?idxno=97672 내일신문 https://www.naeil.com/news/read/566561?ref=naver

    today thumbnail
    학생·청년 ‘생성형 AI’ 교육 나선 대학… “참여형 교육으로 활용 역량↑”

      대학, 재학생·청년 등 대상 생성형 인공지능(AI) 교육 실시 한양여대, ‘대학 수업 생성형 AI 활용방법·윤리 교육’ 워크숍 서경대, ‘생성형 인공지능(AI)툴 기초와 활용 교육’ 진행해 “실습·체험 중심 프로그램, 전공·산업 분야별 전문가 교육 가능” “교육비·강사료 지원, 생성형 AI 유료 버전 등 정부 지원 당부”   최근 한양여대에서 미래형 교수학습방법 ATL(Active Teaching & Learning) 학습법 워크숍이 진행됐다(왼쪽). 서경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지난 7월 서경대 재학생, 졸업생, 지역청년을 대상으로 ‘생성형 AI툴 기초와 활용 교육’을 실시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법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가에서 학생, 지역청년 등을 대상으로 진행한 교육이 호응을 얻고 있다. 90% 이상의 높은 만족도와 학생들의 긍정적 반응 등이 이어지고 있는 것. 전문가들은 대학의 생성형 AI 활용 교육에서 실습 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로 AI를 활용해 볼 수 있고, 분야별 전문가를 통해 체계적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반면 이같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금전적, 생성형 AI의 유료 버전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30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대학에서 학생, 지역청년에게 제공한 생성형 AI 활용 교육에서 긍정적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한양여대에서 진행한 미래형 교수학습방법 ATL(Active Teaching & Learning) 학습법 워크숍에는 총 1013명의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92%의 만족도를 기록했다.   참여 학생들의 긍정적 후기도 이어졌다. 해당 워크숍에 참여한 한 학생은 “AI에 대한 이론적 설명뿐만 아니라, 실제로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다른 학생은 “강사님의 설명을 통해 제한된 시간 동안 핵심 내용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경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가 지난 7월 서경대 재학생, 졸업생, 지역청년을 대상으로 진행한 ‘생성형 AI툴 기초와 활용 교육’에서도 참가자들의 긍정적 평가도 잇따랐다.   해당 교육에 참여한 한 학생은 “직접 콘텐츠를 완성하면서 기능에 대한 학습뿐만 아니라 생성형 AI가 실무에서 활용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참여자는 “직접 생성형 AI를 활용해보면서,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과 콘텐츠 기획·제작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국내 주요 대학들은 학생, 청년 등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활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생성형 AI의 실제 활용법과, 이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역량 등을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한양여대 교수학습혁신센터는 지난 1학기에 이어 2학기에도 ‘대학 수업 내 생성형 AI 활용방법·윤리 교육’을 주제로 미래형 교수학습방법 ATL 학습법 워크숍을 진행했다. 해당 워크숍은 ATL 적용 수업을 수강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면으로 진행됐다.   서경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가 지난 7월 서경대 재학생, 졸업생, 지역청년을 대상으로 ‘생성형 AI툴 기초와 활용 교육’을 진행했다. 생성형 AI 실습을 통한 참여자들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 역량 강화에 주력했다는 게 대학 측 설명이다.   교육 과정은 △생성형 AI의 원리·자기소개 텍스트 작성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실습 △음성 합성 콘텐츠 제작·자기소개 음성 녹음 △AI 음악 생성·영상용 오디오 구성 △취업 포트폴리오용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등으로 구성됐다.   전문가들은 대학에서 학생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생성형 AI 활용 교육이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분야별 전문가들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단순히 기술을 체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AI 응용력과 실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 전공·산업별 전문가를 통해 고도화 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다.   변유찬 연암공대 스마트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대부분 학생, 지역청년은 궁금증 해소를 위해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며 “대학에서 실시하는 생성형 AI 활용 교육은 인공지능 개요, 대형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에 대한 구조·원리,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에 대해 교육하고, 이에 대한 실습·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해 학생들이 실제 문제 해결 과정에서 AI를 적용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동수 세한대 인공지능빅데이터학과 교수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일반교육기관 등과 달리 대학에서 진행하는 교육은 학생, 청년 등 지역 구성원들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종합적 학문을 다루고 전공·산업별 전문가들이 모인 대학에서 실무적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AI 시대에 학생, 지역 주민 등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각 지역별 대학들이 이들을 위한 맞춤형 생성형 AI 활용법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또한 전문가들은 금전적 부담을 덜고, 더욱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비·강사비 지원, 취업 연계 등 국가적 지원도 당부했다.   변유찬 교수는 “각 지역에 있는 대학들이 일반인과 지역 학생들을 위해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강좌를 제공하면, 이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 가능할 것”이라며 “강좌에 대한 교육비·강사료를 지원하는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고, 정부 차원에서 생성형 AI의 유료 버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교육을 이수한 학생에게는 인증서를 부여해 취업을 연계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원문출처> 한국대학신문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85604    

    today thumbnail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 중국 베이징 천교예술센터와 ‘한·중 간 뮤지컬 콘텐츠 및 공연예술 시스템 협력 강화‘ 논의

      양국 간 뮤지컬 창작과 인재 양성, 전문교육 위한 지속 교류 및 공동 창작 활성화 기대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 교수, 이하 ‘문화예술센터’)는 10월 15일(수), 중국의 대표 복합공연예술기관인 베이징 천교예술센터(北京天桥艺术中心, 이하 ‘천교예술센터’) 관계자들을 초청해 ‘교육 협력’이라는 전통적 틀을 넘어, 실제 창작 현장과 공연 인프라를 연결하는 ‘한·중 간 뮤지컬 콘텐츠 및 시스템 협력 강화’를 위한 교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문화예술센터는 교내 유담관 AEC SPACE에서 천교예술센터 방문단과 함께 △뮤지컬 실기 기반 교육 및 실연 프로세스 소개 △학과 간 융합 제작 시스템 △한국형 공연 제작 대학인프라 공유 등 실무교육과 현장 중심의 교류를 위한 대담을 진행했다. 이후, 뮤지컬전공(황태율 주임교수, 부교수) 및 무대패션전공(박은정 주임교수, 부교수) 등 서경대 공연예술대학의 실기 협업 수업현장을 방문해, 한국형 공연 창작 교육이 실제 제작과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공연 제작 전반의 실무 협업 체계를 공유했다. 이번 교류에는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장 최은정 교수(공연예술학부 부교수), 운영위원장 권미경 교수(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조교수)가 참여했으며, 서경대학교 대학원 뮤지컬전공 박사과정 이천의 연구원과 뮤지컬온라인 대표 매의가 통역을 맡았다. 천교예술센터에서는 덩웨이(邓炜, 이사장 보좌) 루루이통(鲁芮彤, 공연사업부 프로듀서)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한중 콘텐츠 공동 기획과 아티스트 교류, 유학생 인재양성 등 실질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는 이번 베이징 천교예술센터의 방문을 통해 중국 공연예술계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서경대가 보유한 실무 중심 융복합 교육 모델과 공연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국제 경쟁력을 공유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천교예술센터의 이번 서경대 방문은 천교예술센터가 추진 중인 뮤지컬 중심 콘텐츠 산업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한국 뮤지컬 시스템을 모델로 삼아 협력 파트너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이뤄졌다. 서경대학교는 국내 대학 중 유일하게 방문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실질적인 협력 가능성과 교육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번 만남은 더욱 의미가 깊다. 최은정 서경대 문화예술센터장은 “한국과 중국 모두 공연예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두 기관의 이번 만남은 미래 지향적인 협력의 출발점”이라며, “앞으로 양국 간 뮤지컬 창작과 인재 양성, 전문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시스템 교류와 공동 창작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베이징 천교예술센터는 2015년에 개관한 중국 국립극장 산하의 종합 공연예술기관으로, 베이징을 대표하는 공연예술 복합문화기관이다. 1,600석의 종합대극장과 1,000석의 중형극장, 소극장과 다기능 공연장 등을 갖추고 있으며, 뮤지컬, 연극, 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국내외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개관 이후 중국 공연예술 콘텐츠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온 천교예술센터는 최근 뮤지컬 중심의 전문 콘텐츠 제작 역량 강화를 목표로, 뮤지컬 전용 극장 착공, 창작극 개발, 전문 배우 매니지먼트, 인재 양성 기지 설립 등 뮤지컬 산업 전반에 걸친 전략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한국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아시아 공연 콘텐츠의 국제화를 주도하고 있다.   <관련기사>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6094 대학저널 https://dhnews.co.kr/news/view/1065575898627915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43965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47008

    today thumbnail
    서경대학교, ㈜파라다이스세가사미와 관광전문 인재 양성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서경대학교 글로벌관광경영학과 김동휘 교수(국제교류처 처장 · 오른쪽)와 ㈜파라다이스세가사미 HR그룹 이영환 상무(왼쪽)가 양 기관 상호교류 협약(MOU)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경대학교 미래융합대학 글로벌 관광경영학과는 10월 16일(목) ㈜파라다이스세가사미와 관광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날 협약을 통해 글로벌 관광전문 인재 양성과 공동의 발전을 목표로 △교육과정 공동 개발 및 운영 지원 △현장 실습 · 인턴십 · 취업 지원에 대한 기회 제공 △교육 및 현장 업무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위한 자료 제공과 상호 교류 △상호 발전적인 산학협력 구축 및 각종 사업 참여 등 다방면에서 적극적으로 협력을 도모해 나가기로 했다. 김동휘 서경대학교 글로벌 관광경영학과 교수(국제교류처 처장)는 “기업이 요구하는 전문적인 직무역량뿐 아니라 국제적 감각의 서비스마인드와 세련된 콘텐츠 개발역량을 갖춘 현장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할 것”이라며 “양 기관의 협력 강화와 관계 발전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라다이스세가사미 HR그룹의 이영환 상무는 “호텔 뿐 아니라 카지노에 대규모 일본 관광객을 필두로 많은 고객이 유입되고 있어 좋은 인재들이 절실히 필요하다.”며 “재학 중 진행 가능한 인턴십이나 현장 실습은 물론 취업까지 연계 가능하도록 산학 연계 교육과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양 기관 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경대학교는 2016년부터 2025년까지 10년 연속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IEQAS)’ 인증대학,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 연속 IEQAS 우수 인증대학에 선정된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관리 우수 인증기관이다. 동북아 최초이자 국내 대표 아트테인먼트 복합리조트인 ㈜파라다이스세가사미는 2017년 개관 후 만 8년간 차별화된 아트전시 · 문화 콘텐츠 · K-페스티벌 등과 연계해 대규모 외국인 관광객 유치 뿐 아니라 관광 인프라 강화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많은 기여를 한 국내 최고의 관광산업 선도 기업이다. <관련 기사>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6197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954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1023_0003373854 대학저널 https://dhnews.co.kr/news/view/1065579526485946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44092 교수신문 http://www.kyosu.net/ 내일신문 https://www.naeil.com/news/read/565231?ref=naver  

    01 02 03 04 05

    SNS

    서경대학교에서 전하는
    주요 정보를 확인하세요.

    SNS On Air

    SEOKYEONG

    미래를 창조하는 CREOS형 인재,
    실용교육의 정점에서 창의적 리더를 양성합니다.

    실용교육이라는 튼튼한 뿌리에서 자란 CREOS형 인재들이 글로벌 무대의 리더로 성장합니다.
    서경대학교에서 시작하는 여정이 최고를 향한 도전이 됩니다.

    Vision

    CREOS형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컬 실용 중심대학

    Mascot

    서경대학교를 대표하는
    제2의얼굴

    Brochure

    실용으로 이끌고
    혁신으로 앞서다

    Promotion Film

    LET`S GO
    SEOKYEONG

    Campus Tour

    지혜와 인의, 용기를 갖춘 글로벌 리더를 기르는 서경대학교의 아름다운 캠퍼스를 경험해보세요.

    찾아오시는길

    찾아오시는길

    서경대학교 찾아오시는 길을
    안내해 드립니다.

    캠퍼스맵

    캠퍼스맵

    서경대학교 주요 시설과 위치를
    자세하게 살펴보세요.

    VR TOUR

    VR TOUR

    서경대학교 캠퍼스 곳곳을
    VR TOUR를 통해 탐험해보세요.

    잘되는 취업의 비밀,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학생의 미래를 생각하며 경쟁력 있는 인재로 준비되도록 지원합니다.

    서경대학교 마스코트 스콘

    진로취업 프로그램

    역량강화를 위한 맞춤 교육,
    지금 신청하세요.

    현장실습 프로그램

    실무중심 실습 교육,
    실력 향상의 기회를 잡으세요.